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열불열녀설화 / 烈不烈女說話 [문학/구비문학]

    남편을 죽인 친구와 결혼하여 남편의 원수를 갚은 부인에 관한 설화. 경상남도 창원시 진동(鎭東) 지역에서는 열녀비에 얽힌 전설로 전승되고 있으나, 다른 지방에서는 본격적인 민담으로 전승되고 있다. 현재 구전되고 있는 지역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일대와 충청북도 영동군

  • 염불가 / 念佛歌 [문학/고전시가]

    1960년대 무형문화재 조사 과정에서 채록된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109구. 범패 분야의 인간문화재인 이경협(李璟協, 1901~?)이 구술한 작품이다. 『화청(和請)』(문화재관리국,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65호, 1969)에 국한문 혼용

  • 염상섭 / 廉想涉 [문학]

    현대의 소설가(1897∼1963). 문예전문지 《폐허》의 동인으로〈표본실의 청개구리〉를 발표하면서 한국근대문학의 기수가 되었다. 이후 〈만세전〉·〈삼대〉를 비롯하여 자연주의적 성향의 작품을 다수 남겼다. 인간의 본질 파악과 리얼리즘문학의 확립에 기여하였다.

  • 염주군 / 鹽州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군. 북부는 룡천군·피현군, 동부는 동림군, 남부는 철산군과 접해 있으며 서쪽은 서해와 면해 있다. 북동∼남서 간의 길이는 29㎞이고 북서∼남동 간의 길이는 14㎞이며 면적은 330여㎢로 도 전체면적의 2.61%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

  • 엿치기 [생활/민속]

    가래엿을 꺾어 구멍의 크기로 승부를 가르는 놀이. 특히 엿이 딱딱하게 굳는 가을이나 겨울철에 즐긴다. 두서너 사람이 제각기 엿목판에서 구멍이 크게 나 있으리라고 생각되는 엿가락을 골라 쥐고 ‘딱’ 하고 꺾는 동시에 입바람을 세게 분다. 순간적으로 엿을 부러뜨리고 입바람

  • 영감놀이 / 令監─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당굿에서 연희되는 굿놀이.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2호. 도깨비신을 대상으로 한 연희적 의례이다. 이 놀이는 여인의 미모를 탐한 영감신의 범접으로 병을 앓게 된 경우, 어선을 새로 짓고 선신인 선왕을 모셔 앉히려는 경우, 마을에서 당굿을 할 경우 등에 실연된다.

  • 영강 / 穎江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속리산에서 발원하여 문경시·상주시를 흘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78㎞. 동북쪽으로 흘러 문경시 농암면 중앙을 흐르는 농암천(籠巖川)이 되고, 농암면과 가은면의 경계에서 산지를 곡류하면서 동북류하여 윤강이 되며, 가은읍 남부를 지나 마성면

  • 영광 법성진 숲쟁이 / 靈光法聖鎭─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법성리에 있는 명승. 영광 법성진 숲쟁이는 법성포와 법성진성(法聖鎭城) 및 성 위에 조성된 숲을 이른다. 이는 법성포에서 흥농 방향으로 연결된 842번 지방도의 고개마루 좌우 측 산 능선을 따라 법성리와 진내리에 걸쳐 있다. 2007년에 명승 제

  •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 靈光 佛甲寺―自生北限地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에 있는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천연기념물 제112호. 면적 27,769㎡. 이 참식나무 자생지는 불갑사 뒤에 위치하고 있다. 참식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울릉도 또는 남쪽지방의 도서에서 자라는 난대수종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