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연안어업 / 沿岸漁業 [경제·산업/산업]
육지에서부터 가까운 연안의 수역에서 소형 어선을 이용하여 수산물을 어획하는 일반적인 해면어업(海面漁業, sea fishery)을 의미하며, 수산 동식물을 인공적 방법으로 길러서 생산하는 양식어업(養殖漁業, aquaculture)을 포함함. 연안어업은 어촌을 중심으로 소
연안온천 / 延安溫泉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연백군 온정면 금성리에 있는 온천. 연안읍에서 동쪽 7㎞ 거리에 있으며, 마을의 지명도 온천마을이다. 『동국여지승람』에 “충렬왕이 또 온주목(溫州牧)으로 승격시켰다.”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 개발 역사가 오래인 것을 알 수 있다. 일명 천복현온천(天福峴溫泉), 또
연암산분화구 / 연암산분화구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 대평리(지금의 양강도 보천군 대평노동자구)에 있는 분화구. 길이는 1,000m이고 높이는 100∼120m이며 지층의 두께는 10∼30m이다. 연암산 정상에 동서 방향으로 놓여있는 이 분화구는 용암이 굳어진 암석의 노출부이다. 이 분화구는 신기 화
연오랑세오녀설화 / 延烏郎細烏女說話 [문학/구비문학]
연오(延烏)와 세오(細烏)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자 일월이 빛을 잃었는데, 세오의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다시 빛을 회복하게 되었다는 설화. 본래 『수이전(殊異傳)』에 전하던 것인데, 고려 때 『삼국유사』에 채록되었다. 이 설화는 단순한 연오·세오 부부의 이동설화가 아
연인산도립공원 / 戀人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조종면, 북면에 자리한 연인산(戀人山, 1,068m)을 중심으로 지정된 도립공원. 사랑과 소망이 이루어지는 곳이라는 연인산은 서울 근교에 위치한 도립공원으로 아름다운 비경과 명소들이 많다. 2005년 10월 21일 경기도에서 2번째 도립공원으로
연자매노래 / 硏子─ [문학/구비문학]
연자매로 곡식을 찧거나 빻거나 쓿을 때 부르는 제주도민요. 여러 사람의 힘으로 굴리거나, 마소를 몰며 연자매를 찧을 때 각기 다른 가락으로 불린다. 연자매는 전국에 흩어져 있었지만, 특히 제주도에 밀집되어 있다. 드물지만 이 노래 역시 제주도에서만 확인된다. ‘?방에’
연장체 / 聯章體 [문학/고전시가]
여러 개의 장(章)을 연결해 하나의 작품으로 구성하는 우리 시가의 형식. 연장체는 각 분단(分段)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기능을 하며, 독립적인 여러 개의 장을 통일된 주제 의식에 맞게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완성된 한 작품으로 구성하는 우리 시가의 형식적 요소이다.
연주대 / 戀主臺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관악산 주봉 중 한 봉우리의 대(臺). 경기도 기념물 제20호. 깎아지른듯한 바위 벼랑 위에 약간의 석축을 쌓고 30㎡쯤 되는 대가 구축되어 있어 이를 연주대라 하는데 거기에는 응진전(應眞殿)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 불당이 꾸며져 있다. 그 뒤에는
연지봉소나무 / 蓮枝峰―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삼지연군 신무성노동자구에 있는 소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352호. 백두산의 대연지봉과 소연지봉 사이에서 자라고 있다. 주변토양은 백두산에서 분출되어 쌓인 부석층이 두껍게 깔려 있으므로 물이 잘 빠진다. 이 지대의 연평균 기온은 -6℃이고 7월
연천계 / 漣川系 [지리/자연지리]
경기육괴 중 연천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지층군. 한반도 최고기지층 중 하나로 일컬어져왔다. 본래 연천계라는 명칭은 연천군과 그 부근에 분포되어 있는 편암을 주로 한 변성암에 붙여진 이름이다. 연천계는 화강편마암에 의하여 관입되고 이들은 조선계에 의하여 부정합으로 덮여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