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최시흥 / 崔時興 [역사/근대사]
미상-1925. 독립운동가. 평안북도 의주 출신. 삭주에서 마부(馬夫)로 있다가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최주천(崔柱天)·박응백(朴應伯) 등과 함께 천마산(天摩山)을 근거로 천마산대(天摩山隊)를 조직, 500여명의 청년을 규합하여 의주·구성·삭주·창
최신 / 崔愼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송시열의 문인이다. 1675년(숙종 1)송시열이 제2차 복상문제에서 남인에게 패하고 유배되자, 이에 반대하는 유필명의 소문이 올려졌는데 그 소문의 작성자로 지목되어 사천으로 유배되었다. 이후 풀려나와 사옹
최양 / 崔瀁 [종교·철학/유학]
1351(충정왕 3)∼1424(세종 6). 고려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지, 어머니는 정운관의 딸이다. 외삼촌 정몽주에게 수학, 1376년(우왕 2) 문과에 급제하여 이부상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1384년 예문관직제학에 재임할 때 이성계를 도와 서북면 정벌에 참여하였
최양업 / 崔良業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신부(1821∼1861). 1837년 김대건·최방제와 함께 조선인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마카오에서 신부수업을 받고, 1849년 상해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귀국하였다. 김대건이 1846년에 순교한 후에 유일한 조선인 신부로서 전교에 힘쓰다가 과로와
최여봉 / 崔汝鳳 [역사/근대사]
1900-1970.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사회주의운동가. 다른 이름은 최여봉(崔如鳳)·최해봉(崔海鳳)이다. 본적은 경상남도 김해(金海)이다. 1926년 6월 김행청년회 발행의 벽신문 《청뢰(晴雷)》의 편집위원, 같은 해 12월 김해청년회 야학부위원직, 1927년 7
최영 / 崔瑩 [종교·철학/유학]
1316년(충숙왕 3)∼1388년(우왕 14). 고려 후기의 명장. 최유청의 5세손, 아버지는 최원직이다. 육도도순찰사, 판삼사사, 철원부원군, 문하시중, 판문하부사, 팔도도통사 등을 역임하였다.
최영걸 / 崔英傑 [역사/근대사]
미상-1921. 독립운동가. 함경남도 온성 출신. 3·1운동이 일어나자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에 가입, 활동하였다. 1920년 9월 노령(露領)으로 옮겨 그곳 시지미에 있는 강용궁(姜龍宮)의 집에서 김학섭(金學燮)·강병관(姜秉官)·최시능(崔時能)·문창학
최영년 / 崔永年 [문학/한문학]
일제강점기 국민신보 사장, 조선문의 주필 등을 역임한 언론인.친일반민족행위자. 신소설 『추월색(秋月色)』의 작가인 최찬식(崔瓚植)이 아들이다. 1897년 고향인 경기도 광주에 사립 시흥학교(時興學校)를 설립해서 신교육보급에 앞장섰다. 1904년 일진회(一進會)에 가입하
최영록 / 崔永祿 [종교·철학/유학]
1793년(정조 17)∼1871년(고종 8). 조선 후기 성리학자. 최흥효의 후손, 고조는 최징조, 증조는 최기중, 조부는 최지해이다. 부친 최성한과 모친 손회경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홍여하의 현손녀이다. 자기 수양과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이황과 정구의
최영의 / 崔永宜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국제가라테연맹총재를 역임한 체육인. 전라북도 김제 출생. 아버지는 최승현(崔承泫)이며 4남으로 태어났다. 그가 창설한 극진가라데(極眞空手)는 일본에서 시작되었지만 지금은 세계 각지로 발전하여 세계 130개국, 1200만 명의 회원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에만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