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최태용 / 崔泰瑢 [종교·철학/개신교]
1897-1950년. 목사, 복음교회의 창설자. 호는 시남(是南). 함경남도 영흥 출신. 청년기에 수원농림학교에 입학하여 3년 동안 공부하였으며 이 시기에 기독교인이 되었다. 졸업 후 연희전문학교 농업실습지도원으로 2년간 근무하며 신앙활동을 계속하다가 1920년 일본
최태환 / 崔太煥 [역사/근대사]
1897-1984.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호는 영산(瀛山)이다. 본관은 양주(楊州)이고, 전라북도 정읍(井邑) 출신이다. 1926년 6월 10일 순종황제 인산일(因山日)에 종이로 백기(白旗)를 만들어 집집마다 달았다. 그도 이 일에 동참하였으며 이 일로 인하여 일본
최팔용 / 崔八鏞 [역사/근대사]
1891-1922. 2·8독립선언의 조선청년독립단대표 중의 한 사람.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당남(塘南). 함경남도 홍원 출신. 1910년 봄에 일본으로 건너갔으나, 몇 달 뒤 일제에 조국이 강점당하자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 오성중학교(五星中學校)를 졸업하였다. 다
최학소 / 崔學韶 [역사/근대사]
1916-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사회주의운동가. 본관은 강릉(江陵)이고, 본적은 강원도 울진(蔚珍)이다. 수헌공(睡軒公) 최응현(崔應賢)의 후손으로, 부친 최익한(崔益翰)의 4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2000년 독립운동 공훈자로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된
최학송 / 崔鶴松 [문학]
1901-1932. 소설가. 신경향파문학의 대표적 작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각지를 떠돌며 품팔이, 나무장수, 두부장수 등 밑바닥 생활을 했다. 이 체험이 바로 그의 문학의 바탕이 되어, 1924년 <조선문단>에 <고국>을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등장, <탈
최한두 / 崔漢斗 [역사/근대사]
1879-1928.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강원도 양양(襄陽)이다.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巽陽面) 주리(舟里) 이장(里長)을 지냈다. 1919년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후 인근 우암리(牛岩里) 이장 김진열(金振烈)과 상왕도리(上
최해 / 崔海 [역사/근대사]
1895-1948.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단사(檀史). 1910년 만주로 망명하여 1915년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했다. 1919년 김좌진 등과 함께 북로군정서를 조직하여 여단장으로 청산리전투 등에 참전했다. 1923년에는 고려혁명군 총사령부관을 지냈다. 광복 후
최해풍 / 崔亥豊 [역사/근대사]
1897-미상.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자는 한빙(翰馮)이고 호는 암은(岩隱)이다.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전라남도 옥구군(沃溝郡) 서수면(瑞穗面)에서 태어났다. 장경공(莊景公) 최사전(崔思全)의 후손이다. 1919년 3·1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최현배 / 崔鉉培 [교육/교육]
근현대의 국어학자, 국어운동가, 교육자(1894-1970). 1941년 10월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광복 후 문교부 편수국장에 재직하였고, 1949년 한글학회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한글의 창제경위·역사·문법 등에 저서를 남겼으며 한글전용과 풀어쓰기를 주장하
최호준 / 崔皓俊 [역사/근대사]
1898-1945. 독립운동가. 황해도 재령 출신. 재령의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졸업하였다. 재령군일대의 궁장토(宮庄土)가 일제의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로 넘어가 농민들이 소작농으로 전락하고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소작료착취가 강화되자, 나석주(羅錫疇)·김덕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