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이존수 / 李存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2∼1829). 경상도관찰사 때 흉년을 구제하여 생사당이 세워졌고, 함경감사 때 조적을 바로잡는 오조변통책을 강구하였다. 우의정과 좌의정 때 시정의 폐단 척결을 과감히 주장했으며, 논주함에 직언으로 하며 아첨하지 않았다. 좌의정 재직 중 죽었다
이존오 / 李存吾 [종교·철학/유학]
1341(충혜왕 복위 2)∼1371(공민왕 20). 고려 후기의 문신. 1360년(공민왕 9) 문과에 급제, 수원서기를 거쳐 사관에 발탁되었다. 1366년 우정언이 되어 신돈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샀으나, 이색 등의 옹호로 극형을 면하고 장사감무로 좌천되었
이종무 / 李從茂 [종교·철학/유학]
1360(공민왕 9)∼1425(세종 7). 조선 전기의 무신. 1381년(우왕 7) 아버지와 함께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한 공으로 정용호군이 되었다. 1397년(태조 6) 옹진만호로 재직중 왜구가 침입해 성을 포위하자 끝까지 싸워 격퇴하였다. 그 공으로 첨절제사
이종상 / 李鍾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99∼1870). 조부 이헌석에게 수학하였고, 시폐의 대책을 상소하여 왕에게 책자를 상으로 받았다. 사설금지를 주장하였고, 미국의 셔먼호 침범을 토벌하는 경주진 소모장이 되었다. 김매순·남고·한운성과 서신으로 태극과 심성을 논하였으며, 대사헌
이종성 / 李宗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9). 이항복 5세손, 이시술 증손, 할아버지는 이세필, 아버지는 이태좌, 어머니는 홍득우의 딸이다. 172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대사간·홍문관부제학·영의정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특히 영남·관서 등에 어사로 파견되어
이종수 / 李宗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22∼1797). 어려서부터 학문에 정진하여 향촌사회의 존경을 받았으며 사림의 모범이 되었다. 명대 학자 대산·소산을 사모하여 스스로 후산이라 불렀다. 저서로 《근사록어류집록》·《수사전습록도설훈의》·《후산문집》 등이 있다.
이종악 / 李宗岳 [종교·철학/유학]
1726년(영조 2)∼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 문신. 이암의 후손, 증조는 이시성, 조부는 이원봉이다. 부친 이선경과 모친 김몽렴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역대의 고실·도화·전예·전병·음률 등에 관심을 많이 가졌다. 특히 우리나라 역사에 관심이 많아 자료를 모
이종윤 / 李從允 [종교·철학/유학]
1431(세종 13)∼1490(성종 21). 조선 전기의 문신. 을충 증손, 할아버지는 원길, 아버지는 형, 어머니는 권명리의 딸이다. 1468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조좌랑, 사헌부장령, 제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송와문집』 4권이 있다.
이종적 / 李宗迪 [종교·철학/유학]
1710(숙종 36)∼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이항복의 5대손, 시술 증손, 할아버지는 세필, 아버지는 정좌, 어머니는 박신부의 딸이다. 1736년(영조 12)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예문관검열이 되어 세자시강원설서를 겸직, 1740년 후
이종주 / 李宗周 [종교·철학/유학]
1753년(영조 29)∼1818년(순조 18). 조선 후기 성리학자. 증조는 이시흥, 조부는 이원미, 부친은 이홍직이다. 생부 이홍재와 생모 박진기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생가의 동생으로 이주성이 있다. 부인은 유명휴의 딸 전주유씨이다. 김종덕·이상정의 문하에서 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