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합 / 榼 [생활/식생활]

    음식을 담는 뚜껑 있는 그릇. 주로 여자 밥그릇으로 많이 사용하며, 국수나 떡국, 약식 등을 담는 데에도 사용한다. 큰 것은 밥통으로도 쓴다. 모양은 운두가 낮고 둥글넓적하다. 재료가 대개 목재이므로 물기 있는 반찬을 담기 위해 옻칠로 마무리되었으며, 의궤자료에는 은

  • 합천이씨족보 / 陜川李氏族譜 [사회/가족]

    조선전기 문신 이복로가 1529년에 간행한 합천이씨의 족보. 분량, 체제, 판종, 간행처 등은 미상이나 서문에서 서거정(徐居正)이 편찬한 안동권씨 성화보(成化譜), 김종직(金宗直)의 『이존록(彛尊錄)』 등이 언급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성화보와 마찬가지로 보도(譜圖),

  • 합천향교 / 陜川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구정리에 있는 향교. 조선 세종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1843년(헌종 9)에 대성전을 중수하였고, 1881년(고종 18)에 수해로 인하여 합천군청이 야로면으로

  • 해남향교 / 海南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수성리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하였다. 1482년(성종 13)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549년(명종 4)에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진되었다가 16

  • 해동야언 / 海東野言 [언론·출판]

    저자 허봉(1551-1588). 필사본. 5권 2책. 각 책의 표제는 '해동야언 건', '해동야언 곤'이라고 쓰여 있다. 각각 66면 33장, 132면 6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동야언>은 본래 태조기부터 명종기까지의 기사를 수록하고 있는데 본 연민본은 태조기부터

  • 해망서원 / 海望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대신리에 있는 서원. 1508년(중종 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병화로 향사가 중단되었다가 1931년 유림에 의하여 제단을 복원하고 김일

  • 해미향교 / 海美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해미향교길(오학리)에 있는 향교. 1407년(태종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숙종 때와 1844년(헌종 10)·1967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대성전·동재(東齋)·서재(西

  • 해시계 / ─時計 [과학/과학기술]

    해의 움직임에 따라 시간을 측정하던 시계. 해시계는 인간이 발명한 가장 원초적인 시계이다. 원시시대에 나무 그림자를 보고 시간을 알 수 있던 것으로부터 점차 발달해 온 것이 여러 가지의 해시계였다. 어느 문명에서나 해시계는 석기시대부터 나타나게 마련이다. 마당에 세운

  • 해운판관 / 海運判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전함사 소속의 정5품 관직. 충청도·전라도의 조운 업무를 담당했다. 조운시에 각 조창(漕倉)을 순회하며 세곡의 선적을 감독하고 각 읍의 수령·색리 등의 압령관(押領官)을 독려해 조선(漕船)을 경창(京倉)에까지 무사히 도착하도록 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경국대

  • 해유 / 解由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원의 교체시 전임자와 후임자 사이에 인수 인계하는 법률적 절차. 후임자에게 그 사무와 소관 물건을 인계하고 재직중의 회계와 물품 관리에 대한 책임을 면하는 제도이다. 재정·현물·군기에 관계되는 것이므로 호조·병조의 소관이었으며, 해유를 받지 못하면 전직·승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