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속기사 / 速記士 [사회/사회구조]

    사람의 발언속도에 따라 음성과 주변 환경 및 분위기를 속기법으로 빠르게 기록하는 일에 종사하는 직업인. 과거에는 한글 속기사와 영문 속기사가 있었으며, 속기 업무만을 전담하는 전문 속기사와 일반 사무를 수행하면서 겸하여 속기하는 일반 속기사가 있었다. 활용되는 분야에

  • 속담 [문학/구비문학]

    교훈이나 풍자를 하기 위해 어떤 사실을 비유의 방법으로 서술하는 간결한 관용어구(慣用語句). 속담의 외형구조는 짧은 형과 긴 형의 두 가지로 나눈다. 짧은 형은 대체로 복합개념을 나타내는 어구이거나 단문(單文)이며, 긴 형은 중문(重文) 또는 복문(複文)으로 되어 있다

  • 속담론 / 俗談論 [문학/구비문학]

    김사엽(金思燁)이 펴낸 속담 연구서. 목차를 보면 자서(自序)에 이어 87권이나 되는 인용 서목을 소개하고 속담론으로 들어가 서론·본론에 이어 색인으로 끝내고 있다. 서론에서는 속담의 정의와 명칭, 그리고 역사적으로 속담이 원용되었던 예증을 통하여 그 가치를 논하고 있

  • 속담사전 [문학/구비문학]

    이기문(李基文)이 펴낸 속담집. 1962년 민중서관(民衆書館)에서 발간하였다. 모두 7,000여 수의 속담을 수록하여 당시 속담집 가운데 가장 많은 자료를 수록하였을 뿐 아니라 출전과 용례까지 밝히고 있어 많은 참고가 된다. 수집 방법은 방종현(方鍾鉉)·김사엽(金思燁

  • 속담집 [문학/구비문학]

    방종현(方鍾鉉)이 펴낸 속담집. 약 200여 수의 속담이 우리말·한문·영어의 3개국어로 표기되어 있다. 배열순서는 가나다순이며 해(解)·주(註)·고(考)를 달아 내용을 부연, 설명하고 있다. 편자는 이 책을 발간한 동기를 우리말의 상식을 좀더 자세히 넓히기 위하여 편찬

  • 속리산 / 俗離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보은군·괴산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058m이다. 태백산맥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나온 소백산맥 줄기 가운데 위치한다. 속리산의 지질은 화강암을 기반으로 하여 변성퇴적암이 군데군데 섞여 있다. 변성퇴적암은 깊게 패이고, 화강암은 날카롭

  • 속리산국립공원 / 俗離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보은군·괴산군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문경시에 이르는 속리산을 중심으로 지정된 국립공원. 대한민국 팔경 가운데 하나인 속리산은 백두대간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 내려오는 소백산맥 줄기의 중앙에 위치한다. 남북으로는 한반도의 척추 역할을 하는 백두대간이 지나며 천왕봉에

  • 속사강명태알쓸이터 / 束沙江明太─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갈전리의 속사마을에 있는 모오캐 산란장. 북한 천연기념물 제265호. 강명태는 모오캐의 북한명이다. 몸길이는 전장 40㎝ 정도로 몸통은 원통형이지만 머리와 꼬리 부는 약간 옆으로 납작하다. 몸은 누르스름한 바탕에 구름 모양의 얼룩얼룩한 갈색 반문이 있다

  • 속사산 / 束沙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간북면과 성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416m. 적유령 산맥 중의 한 산으로 남서쪽에 비삼봉(非三峰, 1,833m), 남동쪽으로 금무봉(金武峰, 1,427m)과 단목산(檀木山, 1,817m)이 있다. 산세는 비교적 느린 경사를 이루며 남북으로 긴

  • 속어 / 俗語 [언어/언어/문자]

    표준적인 구어(口語) 속에서 판에 박은 듯한 표현에 신선미를 가지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어·어군(語群) 또는 관용적인 표현법. 속어는 격식을 차려야 하거나 점잖고 신중한 발화 또는 그러한 문체(文體) 속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속어는 신선미가 있는 대신 경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