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소정유고 / 巢汀遺稿 [종교·철학/유학]

    고덕림의 문집. 석판본, 서: 장병규(1980), 발: 고호림(1979), 4권 2책. <소정유고>는 20세기 근대 한학자인 고덕림의 시문집이다. 고호림이 발문을 짓고, 장병규에게 부탁하여 서문을 짓게 했다. 권1은 시 40제 69수가 있고, 만사는 15제 21수, 부

  • 소중간군도 / 小中間群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만재도리에 있는 군도. 만재도에는 2009년 기준으로 42세대에 9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취락은 마구산의 남동사면 산록부에 집중해 있다. 만재도에는 논은 없고 밭과 임야로 구성된다. 주민의 대부분은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근해는 대륙붕으로 한류

  • 소천굴 / 昭天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에 있는 용암동굴(熔岩洞窟). 길이 3,075m. 협재굴(挾才窟)·황금굴(黃金窟)과 함께 협재리동굴지대(挾才里洞窟地帶)를 이루어 천연기념물 제236호로 되어 있다. 지층은 표선리현무암층(表善里玄武岩層)에 속한다. 특히 동굴입구에는 양치

  • 소철 / 蘇鐵 [과학/식물]

    소철과에 속하는 상록관목. 학명은 Cycas revoluta THUNB.이다. 가지가 없고 줄기가 하나로 자라거나 밑부분에서 작은 것이 돋으며, 높이 1∼4m이고 원추형으로서 엽흔(葉痕)이 겉을 둘러싸며, 끝에서 많은 잎이 윤상(輪狀)으로 퍼진다. 잎은 1회우상복엽(一

  • 소청도 / 小靑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소청리에 있는 섬. 동경 124°55′, 북위 37°52′에 위치한다. 옹진반도로부터 서쪽으로 약 40㎞, 대청도에서 남동쪽으로 4.5㎞ 지점에 있다. 면적은 2.94㎢이고, 해안선 길이는 14.2㎞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280명(남

  • 소타령 [문학/구비문학]

    소가 지니는 유다른 미덕과 희생으로 일관된 삶을 노래한 타령. 소를 제재로 한 가사로 민요화한 사설도 보인다. 소의 삶을 제재로 한 타령이기 때문에 일정한 기능은 없다. 겸손하고 부지런하며 점잖으면서 남을 위해 철저히 몸 바치는 소의 미덕을 찬양하는 내용이 대종을 이룬

  • 소태나무 / Picrasma quassioides (D. DON) BENN. [과학/식물]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산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높이 8m, 지름 20㎝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작은 잎은 9∼15개이다. 형태는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길이 4∼10㎝, 너비 1.5∼3㎝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윤채가 있다. 가장자리에는

  • 소프트볼 / 소프트볼 [예술·체육/체육]

    미국에서 만든 야구형 스포츠.인도어 베이스볼·플레이 그라운드볼·레크리에이션볼. 소프트볼은 야구처럼 화려한 멋은 없으나 야구보다 스피드감과 스릴이 있다. 그리고 야구 이상의 팀플레이가 요구되는데, 야구를 공격형의 경기라고 한다면 소프트볼은 수비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규칙

  • 소홍단수 / 小紅端水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무산군북서쪽의 여러 산에서 발원하여 북부를 지나 두만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백두산 부근의 소연지봉(小臙脂峯)과 소백산(小白山)·북포태산(北胞胎山) 등에서 발원하며 높이 800∼1,000m의 대지성 고원지대를 흐른다. 지질은 편마암지대에 속하며 토양은 흑갈색 식

  • 소화 [문학/구비문학]

    웃음을 주는 단편적인 이야기들을 다룬 설화의 총칭. 소화는 설화의 오락적 기능에 치중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교훈적인 요소나 윤리적 요소를 무시하고 저급화하는 경향까지 있다. 또한 등장인물의 결함이나 사기 등을 중점적으로 과장하게 되므로 비도덕적인 요소가 포함될 수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