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소백산 / 小白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과 양강도 삼지연시에 걸쳐 있는 산. 북위 41° 51.5′ 동경 128° 12′ 부근에 위치한 산으로, 높이는 2,174m이다. 마천령 산맥의 북단, 즉 백두산 산지의 남쪽 끝머리 봉우리에 해당된다. 산지의 남쪽 사면은 압록강의 상류에 해당하는

  • 소백산 / 小白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과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에 걸쳐 있는 산. 소백산은 동경 128°21′∼128°43′, 북위 36°50′∼37°04′에 걸쳐 위치해 있는 소백산의 면적은 약 323㎢이며, 주봉인 비로봉의 높이는 1439.7m이다. 소백산

  • 소백산 주목 군락 / 小白山 朱木 群落 [과학/식물]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어의곡리 소백산 능선 서쪽에 있는 주목군락. 천연기념물 제244호. 면적 148,760㎡. 높이는 7m 정도이고, 가장 큰 나무는 가슴높이둘레가 2m 정도이다. 수령은 200∼500년이다. 주목은 주목과를 대표하는 상록교목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재

  • 소백산국립공원 / 小白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에서 경상북도 영주시와 봉화군에 이르는 소백산을 중심으로 지정된 국립공원. 소백산은 한반도의 중심에 우뚝솟아 있는 산으로 백두대간의 장대함과 신비로움을 간직한 명산이다. 형제봉을 시작으로 신선봉, 국망봉, 연화봉, 비로봉 등의 봉우리가 웅장함을 이루고 있

  • 소백산맥 / 小白山脈 [지리/자연지리]

    태백산 부근에서부터 경상도와 강원도·충청도·전라도의 경계를 따라 서남방으로 내려가 여수반도에 이르는 산맥. 소백산맥은 연속된 산맥이어서 영남 지방과 중부·호남 지방간에 교통의 장애가 되어왔다. 영남 지방이라는 명칭도 과거 중부 지방에서 볼 때 경상남북도가 이 산맥의 남

  • 소비자교육중앙회 / 消費者敎育中央會 [사회/사회구조]

    여성의 능력 개발 및 사회 활동을 위한 여성·소비자단체. 1971년 8월 주부들 대상의 재교육을 통한 자질함양을 통해 가정생활의 질을 높이고 또한 사회참여를 유도하여 국가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조직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여성들을 중심으로 한 모임이 생겼났다. 그리고 1

  • 소비자보호운동 / 消費者保護運動 [사회/사회구조]

    소비생활의 합리화를 추구하여 소비자 주권을 실현하려는 사회운동. 일반적으로 소비자보호운동은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한 대량소비단계에서 생겨난 새로운 운동의 흐름으로 역사적으로는 20세기 초 미국을 비롯한 산업선진국을 중심으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이 무렵 대중소비시대에

  • 소사 / 素砂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부천 지역에 있었던 읍. 본래 부천군 계남면이었는데, 1931년 소사면으로 바뀌었다. 1941년 소사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63년 소사읍내의 고척·개봉·오류·천왕·궁·항·온수의 7개 리가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다. 1973년 소사읍을 중심으로 하여 부천시로

  • 소사나무 / Carpinus turczaninowii Hance [과학/식물]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 한국 특산종으로 중부 이남의 해안이나 섬 지방에서 주로 자란다. 소서나무라고도 한다. 학명은 Carpinus turczaninowii Hance이다. 나무의 지름은 20㎝이고, 높이는 10m이다. 인천광역시 강화도 참성

  • 소상 / 小祥 [사회/가족]

    사망한 날로부터 1년이 지난 뒤에 지내는 상례의 한 절차. 초상(初喪) 때부터 계산하여 13개월만에 지내는데 윤달은 계산하지 않는다. 옛날에는 13개월이 되면 날을 받아서 지냈지만 지금은 사망한 지 1주년이 되는 날 지낸다. 그러나 기년상(朞年喪)인 경우에는 11개월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