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소간령 / 小間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인제군 북면과 고성군 간성읍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705m. 태백산맥의 신선봉(神仙峰, 1,204m)과 마산봉(馬山峰, 1,052m)과의 안부(鞍部)에 있는 새이령 또는 대간령(大間嶺, 641m)의 서남쪽 계곡과 소양강의 지류인 북천(北川)의 창암(窓巖)에서

  • 소경도 / 小鏡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경호동에 있는 섬. 동경 127°42′, 북위 34°42′에 위치하며, 여수항에서 남쪽으로 약 1㎞ 지점에 있다. 동쪽에 대경도가 있다. 면적은 0.42㎢이고, 해안선 길이는 3.5㎞이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78명(남 98명, 여 80명)이

  • 소고춤 / 小鼓─ [예술·체육/무용]

    소고를 들고 추는 춤. 농악에서 소고치배들이 추거나, 교방춤에서 입춤이나 교방춤 끝에 춘다. 농악에서 추는 소고춤은 고깔소고춤과 채상소고춤으로 나뉜다. 공히 판굿에서 뒷배를 받쳐주며, 판을 너울거리고 출렁거리게 한다.고깔소고춤은 주로 전라우도 농악에서 볼 수 있다. 소

  • 소공 / 小功 [사회/가족]

    상례(喪禮)의 오복제도(五服制度)에 따른 상복. 소공에는 5개월간 상복을 입는데 이때의 상복을 소공복(小功服)이라 하고, 소공복을 입는 친족의 범위를 소공친이라고 한다. 소공친은 할아버지 형제의 내외(증조부·종조부·종조모), 아버지의 사촌형제 내외(종숙부·종숙모), 6

  • 소귀나무 / Myrica rubra S. et Z. [과학/식물]

    소귀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따뜻한 난대지역에서만 자라는 난대수종이며 높이 10m, 수관(樹冠):나무 줄기위 많은 가지가 달려 있는 부분 너비 10m로 둥글게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색이며 작은 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잎은 혁질(革質)의 긴 타원상 도피침형(倒披針形:

  • 소금 [생활/식생활]

    염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짠맛이 나는 흰 결정체. 화학명은 염화나트륨이며 분자식은 NaCl이다. 라틴어의 sal에서 유래되어 salt(영어), salz(독어), sel(프랑스), sal(스페인·포르투갈), sale(이탈리아)로 불리운다. 음식에 사용하는 정제된 소금

  • 소나무 / Pinus densiflora S. et Z. [과학/식물]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주로 솔나무·송목·적송·육송 등으로 부르며, 송유송(松油松)·여송(女松)·자송(雌松)·청송(靑松) 등으로도 부른다. 학명은 Pinus densiflora S. et Z.이다. 높고 굵게 크는 나무로서 우리나라의 나무 가운데 은행나무 다음으로

  • 소년광창체육회 / 少年光昌體育會 [예술·체육/체육]

    1909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체육단체. 한성(漢城) 북동(北洞) 남궁 계의 집에서 청년의 신체를 건강하게 단련시킬 목적으로 조직되었다.각종 체조와 타구회(打球會)를 개최하였으며, 자세한 활동상황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소년들을 위한 여러가지 체조나

  • 소놀이 [생활/민속]

    소 형상을 만들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풍년과 평안을 기원하는 민속놀이. 황해도·경기도·충청북도를 비롯한 우리 나라 중부지역과 강원도의 영서지방에서 행하여지며, 그 시기는 정월대보름과 한가위로서 한 해에 두 차례 베풀어진다. 이 놀이를 위해서는 먼저 소를 만들어야 한다.

  • 소대각봉 / 小大角峯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운흥면에 있는 산. 높이 2,042m. 마천령산맥 중의 험준한 산으로, 동쪽 약 2㎞ 지점인 함경남도와 함경북도의 경계에 위치하는 대각봉(大角峯, 2,121m)과는 자매봉을 이루고 있다. 북쪽에 있는 설령봉(雪嶺峯, 1,836m)을 비롯한 1,800m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