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세민황제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구연되었던 서사무가. 자료는 민족 항일기에 채록된 것과 1968년에 진성기(秦聖麒)가 채록한 것으로 모두 2편이 있다. 이승에서 포악한 짓을 하던 세민황제가 죽어 저승에 다녀와서 적선의 길을 깨닫고 선행을 했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제주도의 무
세뿔투구꽃 / ustrokoreense koidz [과학/식물]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경상북도지방에서 자라며 비스듬히 서거나 때로 옆에서 자라는 식물에 기대어서 1m 내외로 자란다.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화서 이외는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5각형에서 3각형이며 3∼5개로 얕게 갈라져서 3∼5각형으로 된다. 밑
세습 / 世襲 [사회/사회구조]
신분·재산·직업·기예(技藝)·생활양식 및 각종 규범 등이 혈연·지연·학연에 의하여 다음 세대로 전수되는 행위. 신분 세습의 경우, 세계에 지금까지도 남아 있는 전형적인 사례는 인도의 카스트(caste)제도이다. 힌두교 교리에 따른 이 카스트제도에서는 각 카스트마다 지켜
세시요 [문학/구비문학]
연중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세시행사(歲時行事)에서 불리는 민요. 세시풍속은 1월에서부터 12월에 이르기까지 1년 동안 흐름에 맞추어 반복되어 온 주기전승(週期傳承)의 다양한 연례민속을 뜻한다. 세시요는 이같은 세시민속의 의식과 놀이에 부합하여 연행된 구비전승물을 일컫는다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世宗大王紀念事業會 [언어/언어/문자]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해 이를 후손에게 계승하기 위한 목적으로 1957년 5월 14일에 설립된 공익 법인. 1956년 10월 9일 510돌 한글날에 학계·예술계와 교육계 및 28개 문화 단체 대표들의 발의로 발기 창립되었고, 1957년 5월 14일 문교부장관으로
세종특별자치시 / 世宗特別自治市 [지리/인문지리]
대한민국의 중부에 위치한 특별자치시. 2012년 7월 1일에 충청남도 연기군을 폐지하면서 인근의 충청북도 청원군과 충청남도 공주시 일부를 병합하여 우리나라에서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하였다. 동쪽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쪽은 충청남도 공주시, 남쪽은 대전광역시, 북쪽
세천온천 / 細川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학성군 학서면 세천동에 있는 온천. 길주명천지구대의 단층에 의해서 생긴 화강암의 열하(裂罅)에서 분출한 온수로서, 수온이 50∼60℃나 되는 고온이다. 다량의 라듐을 포함하고 있어서 피부병ㆍ류머티즘 등에 특효가 있다 한다. 『동국여지승람』에는 대사동온천(大寺洞
세탁공 / 洗濯工 [사회/사회구조]
세탁을 전문적으로 하는 직업인. 세탁소·세탁공장·병원·호텔·각종 기숙사 등에 속하여 있다. 오늘날의 세탁은 과거처럼 의류나 침구류에 국한되지 않고 식탁용품·가구류의 거죽에 묻은 때를 제거하는 일도 포함되므로 세제와 기계적 힘을 가하는 물리적·화학적 작용의 전문적 작업이
세포군 / 洗浦郡 [지리/인문지리]
강원도(江原道, 북한) 중부에 자리 잡고 있는 군. 북쪽은 법동군·고산군, 남쪽은 김화군·평강군, 동북쪽은 회양군, 서쪽은 판교군과 마주하고 있는 세포군은 동경 127°03′∼127°36′, 북위 38°30′∼38°53′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은 956.06㎢, 인구는
셍굿무가 / ─巫歌 [문학/구비문학]
함경도 망묵이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1965년임석재(任晳宰)·장주근(張籌根)이 함흥에서 월남한 강춘옥(姜春玉) 무녀의 보유 자료를 채록하여 『관북지방무가』(1966)에 수록하였다. 셍굿은 ‘성인(聖人)굿’의 방언이며,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여래가 이야기의 주인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