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성천유집 / 省川遺集 [종교·철학/유학]

    송상익의 문집. 석판본, 송수선,1987,4권 2책. 권1에 시 114제154수, 권2에 시 114제 151수 등 총 228제 305수가 실려 있다. 권2말미에 김영한 등 31명이 1956년 저자의 회갑을 맞이하여 지은 <수연운>34수, 이유화 등 17명이 저자의 죽음

  • 성폭력 / 性暴力 [사회/사회구조]

    성을 매개로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함으로써, 개인 혹은 집단에 대해 신체적·심리적·사회적 고통을 야기하는 행위. 성폭력은 1980년대 사회 전체적으로 국가 공권력에 의한 폭력이 만연하던 시기부터 가시화되었다. 노동운동에 대한 탄압의 분위기 속에 1986년 부천

  • 성하감입사행 / 城河嵌入蛇行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성간면 서동(지금의 자강도 성간군 성하노동자구)에 있는 계곡. 성하노동자구의 소재지에서 북동쪽으로 약 2㎞ 거리의 약 380m의 높이에 있다. 지각의 융기와 독로강(禿魯江)의 지류인 간북천(干北川)의 침식에 의하여 형성된 골짜기로서 산악하천의 특징을 보

  • 성하왕찔광나무 / 城河─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자강도 성간군 성하노동자구에 있는 아광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119호. 왕찔광무는 아광나무를 북한에서 일컫는 명칭이다. 아광나무는 살림집 주변에서 자란다. 해발 높이는 460m이며 옆에 112그루의 어린 아광나무들이 있다. 아광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

  • 성화 / 聖火 [예술·체육/체육]

    올림픽경기가 개최되는 주경기장의 성화대에 점화하여 경기가 끝날 때까지 타오르게 하는 횃불. 채화식이 거행되는 장소는 그리스 남쪽 펠로폰네소스 반도 엘리스지방의 피자티스에 있는 헤라신전이며, 채화된 횃불을 올림픽의 개최지로 옮긴 뒤 릴레이로 봉송하여 주경기장에 점화하게

  • 성황설화 / 城隍說話 [문학/구비문학]

    성황신에 대한 설화. 성황설화는 성황당신과 관련되고 무속신화에 근접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렇지만 고을신화와 마을신화로서의 성격이 우세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이 일반적인 굿의 무가로 화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지역적인 수호신들이 자리매김을 하고 과거의 여산신이나 산신

  • 세 개의 병설화 [문학/구비문학]

    세 개의 병을 사용하여 괴물에게 납치당한 누이동생을 구출하였다는 내용의 설화. 어느 마을에 괴물이 나타나 어느 집의 딸을 납치하여 갔다. 그 오빠가 누이동생을 찾으러 집을 나가 헤매다가 산속에서 어떤 노인으로부터 흰병·파란병·빨간병을 얻는다. 노인이 가르쳐준 곳까지 가

  • 세경놀이 / 世經─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연희되는 무당굿놀이. 세경은 세신(歲神)으로, 이 굿놀이는 농사의 풍년을 빌기 위한 일종의 유감주술극이며, 세신의 곡식을 거두어들인다는 뜻이 있다. 「세경놀이」의 내용은 지역과 심방(무당)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나, 조·보리농사의 경작에서 수확에

  • 세경본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무속 제의의 제차 중 큰굿을 할 때 심방(무당)이 주로 농사와 가축의 풍년과 번성을 구송하는 본풀이다. 본풀이의 길이가 무척 길고 내용이 풍부해서 중요한 자료로 꼽힌다. 함흥 지역의 「문굿무가」와 같은 계통의 무가로 간주된다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