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성주해평동측백나무 / 星州海平洞側栢─ [과학/식물]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해평리에 있는 측백나무. 경상북도 기념물 제49호. 높이는 25m 정도이고, 지상 2.61m 높이에서 가지가 다섯 개로 갈라졌다. 다섯 개의 가지 중 두 가지만 정상적으로 자라 나무의 형태가 기이하게 생겼고, 나무의 나이는 약 320년으로 추정된

  • 성진만 / 城津灣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성진시의 남동쪽에 있는 유진단(楡津端)과 그 서쪽 대안(對岸)인 사진단(沙津端) 사이에 있는 만. 만의 입구는 남남동쪽으로 열려 있다. 너비 약 7.4㎞, 만입 약 5.5㎞이며, 수심은 내만에서 평균 5m, 만 입구에서 10m 내외이다. 만내에는 함경산맥을 불

  • 성진시 / 城津市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남단 동해안에 있는 시. 동쪽은 동해에, 남서쪽·서쪽·북쪽은 학성군에 둘러싸여 있다. 동경 129°08′∼129°14′, 북위 40°39′∼40°43′에 위치하며, 면적 62.75㎢, 인구 9만 4172명(1945년 현재)이다. 본(本)·욱(旭)·행(幸)·남(

  • 성천가지부처손군락 / 成川─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남도 성천군 성천읍에 있는 가지부처손 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46호. 가지부처손 군락은 자연명승지로 알려진 12봉의 한 봉우리에 퍼져 있다. 봉우리에는 넓은잎정향나무·멧대추나무·조팝나무들과 싸리나무·은시호·금불초 등이 자라고 있다.그리고 강산나루

  • 성천강 / 城川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신흥군 하원천면과 북청군 안수면의 경계인 금패령(禁牌嶺, 1,676m)에서 동해로 흘러드는 강. 길이 98.5㎞, 유역 면적 2,338㎢. 신흥군 동북방 함경산맥의 금패령에서 발원하여 신흥·원평·중리 등 3읍을 지나 함주군의 중앙을 흘러 동한만으로 들어간다.

  • 성천군 / 成川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동남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양덕군, 동남쪽은 황해도 곡산군, 서쪽은 강동군, 남쪽은 황해도 수안군, 북쪽은 순천군과 맹산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00′∼126°34′, 북위 38°54′∼39°26′에 위치하며, 면적 1,554㎢, 인구 9만 9874명

  • 성천밤나무 / 成川─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남도 성천군 장상리에 있는 밤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441호. 밤나무는 절골의 밤나무 밭에 있다. 주변에는 참나무·소나무·기타 관목들이 섞여 자라고 있다. 나무는 1947년경에 심은 것이라고 한다. 나무 높이는 12m이고 뿌리목 둘레는 1.5m,

  • 성천분지 / 成川盆地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성천군의 대부분 지역을 이루는 분지. 상천분지의 동서 길이는 약 15㎞, 남북 길이는 17㎞, 면적은 160㎢, 평균높이는 60m이다. 성천읍을 중심으로 동쪽에 향풍산(香楓山, 805m)·사공산(謝公山, 530m), 남쪽에는 물아시고개(勿兒視峴)가 있으며, 서

  • 성천수 / 城川水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부령군 서상면과 경성군 주을읍의 경계인 여령(驪嶺, 1,728m)에서 발원하여 북서류하여 두만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76.5㎞. 서두수(西頭水)·연면수(延面水)와 함께 두만강의 큰 지류이다. 성천수 양안에는 하안단구(河岸段丘)가 발달되어 있는데 이는 지반

  • 성천온천 / 成川溫泉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성천군 영천면 용택리(지금의 온정리)에 있는 온천. 북쪽에는 진산인 백운산(白雲山, 528m)이 솟아 있고, 남서쪽에는 갈산(葛山, 228m)ㆍ봉수산(烽燧山, 192m) 등이 있다. 온천은 백운산에서 시작하여 비류강(沸流江)으로 흘러드는 온정천(溫井川)변에 있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