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성수대교 / 聖水大橋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에서 강남구 압구정동을 연결하는 다리. 서울 강남의 영동지구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서울 동부권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고 서울의 부도심의 기능을 촉진하며, 인구분산과 교통난 해소를 위해 건설된 교량이다. 1994년에 교량이 붕괴되어 1997년에
성수대교붕괴사건 / 聖水大橋崩壞事件 [사회/사회구조]
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성동구 성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연결하는 성수대교의 상부 트러스 48m가 붕괴한 사건. 성수대교붕괴사건은 공권력을 이용하여 사익을 위해 추구하여 왔던 한국 사회 부정부패가 그 사건의 배경이다. 건설사의 부실공사와 감리담당 공무원의
성심모자원 / 聖心母子院 [사회/사회구조]
배우자가 없는 저소득층 모자가정 세대의 보호·기본적인 생계를 지원을 위해 설립된 사회복지법인. 성심모자원은 “과부와 고아를 돌보라”는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1952년 3월, 한국전쟁으로 남편을 잃은 미망인과 자녀를 보호하기 위해 우명득 목사에 의해 설립되었다. 현재는
성씨 / 姓氏 [사회/가족]
출생의 혈통을 나타내거나 한 혈통을 잇는 겨레붙이를 가리키는 가족용어. 성씨란 일정한 인물을 시조로 하여 대대로 이어 내려오는 단계혈연집단(單系血緣集團)의 한 명칭이며, 곧 족적 관념(族的觀念)의 표현이라고 볼 수도 있다는 데서 결국 족의 문제와 직접 연결된 것으로,
성암집 / 誠庵集 [종교·철학/유학]
김세영의 문집. 석판본, 후지:김승학(1962), 4권2책. 권1에는 187제 268수의 시가 실려 있는데,명승고적을 유람하며 읊은 경물시와 만시및 차운이 많다.권2와 권3에는 서 93편이 실려 있고, 권4에는 잡저 5편, 발 1편, 제문23편, 뇌사1편, 묘갈명 1편
성인봉 / 聖人峰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과 북면·서면에 걸쳐 있는 산. 성인봉 높이는 986.5m이고, 울릉도의 최고봉인 성인봉에서 세 방향으로 산맥이 뻗어내려 남면·북면·서면을 가르는 경계가 되고 있다. 원시림을 남기고 있는 성인봉은 울릉도의 중요 관광자원이다. 주변의 관광지는 알봉본
성조 / 聲調 [언어/언어/문자]
단어를 이루고 있는 각 음절 위에 배치된 의미 있는 일정한 높이(高低, pitch). 성조언어가 가지는 성조의 기본적인 특성은 대개 네 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성조는 어휘의 뜻을 갈라내는 데 쓰이는 의미있는 높낮이라야 한다. 가령 경상도방언의 /말/은
성주 경산리 성밖숲 / 星州 京山里 城─ [과학/식물]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있는 숲. 천연기념물 제403호. 이 숲은 왕버들 59주로 되어 있고, 왕버들은 버드나무과에 속하며, 높이 20m, 지름 1m이상으로 자라는 낙엽교목이다. 이 숲에는 가장 높은 나무는 14m에 이르고 근원경은 166㎝로서 최대치를 보이고
성주산 / 聖住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과 성주면에 겹쳐 있는 산. 높이 680m. 산림이 울창하여 목재 등 임산물도 많이 생산된다. 또한 단풍 등 경관이 아름다워서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예로부터 성인·선인이 살았다 해서 성주산이라 불리었다고 전한다. 문헌에 의하면 신라 태종무열
성주축원 [문학/구비문학]
가신(家神)인 성주신에게 가정의 재수와 복을 기원하는 무가(巫歌). 「성주축원」은 성주굿이나 안택 등의 무의(巫儀)에서 구연되는데, 성주굿은 가정에서 주관하는 재수굿이나 마을에서 촌민들이 공동으로 행하는 마을굿에서 중요시되는 굿거리이며, 안택은 주로 독경무들이 행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