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성돌이 / 城─ [생활/민속]
윤달에 부녀자들이 성터에 올라가 성줄기를 따라 열을 지어 도는 풍속. 윤달은 한 달이 더 가외로 있는 달이니 정상적인 것은 아니요, 무슨 일을 해도 지장이나 부작용이 없는 달이라고 생각해왔다. 윤달에는 저승문이 열린다는 속신(俗信)도 있다. 대개 중부이남지역에서 볼 수
성동연꽃 / 城東蓮─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피현군 성동리에 있는 연꽃. 북한 천연기념물 제447호. 연꽃은 성동리 용주성 남문터에서 동쪽의 성 밖으로 100m 거리에 있다. 용주성은 1014년에 산줄기를 따라 둘레 4㎞로 쌓은 돌성이며 연못은 1756년경에 판 것이다. 못의 면적은 약
성룡강 / 成龍江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영원군과 평안북도 희천군의 경계인 낭림산(狼林山, 2,014m)에서 발원하여 영원군 중부를 남류하여 대동강의 상류로 흘러드는 강. 길이 49㎞. 강의 상류에서는 연재덕산(淵在德山, 1,519m)과 남곡봉(南谷峰, 1,487m) 사이에 있는 깊은 계곡을 흐르므로
성매매 / 性賣買 [사회/사회구조]
불특정인을 상대로 일정한 대가를 주고받기로 하고 성관계 또는 유사 성행위를 하는 매매행위. 성매매(性賣買)란 성을 사고파는 행위성매매(性賣買)란 성을 사고파는 행위를 통칭한다. 성매매 행위자들, 곧 구매자, 매개자, 판매자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말하는 사람들의 관점에 따
성모 / 聲母 [언어/언어/문자]
한어(漢語)의 음절 첫머리에 나타나는 자음(子音). 한어의 음절은 IMVET로 분석되며, I(initial의 약자)가 성모, M(medial)이 개음(介音), V(vowel)가 주모음(主母音), E(ending)가 운미(韻尾), T(tone)가 음절 전체에 걸치는 성조
성북느티나무 / 城北─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이천군 성북리에 있는 느티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244호. 느티나무는 성북리 자뒤부락 가운데 있다. 나무 밑에는 샘물터가 있고 뒤에는 이천역(성북역)으로 가는 길이 있으며 길 건너 편에는 살림집들이 있다. 느티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편
성산 일출봉 / 城山 日出峰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에 있는 화산. 높이 182m의 성산 일출봉은 제주도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는 관계로 예로부터 영주십경(瀛州十景)의 하나로 여겨졌다. 1976년에 제주도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가 2000년 5.02㎢의 성산 일출봉 천연보호구역이
성산대교 / 城山大橋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연결하는 다리. 서울의 도심에서 신촌 부도심을 지나 서부간선도로와 경인고속도로를 연결시켜 주는 다리로서 인접한 양화대교의 교통량 증가로 도로의 추가 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성산대교가 계획되었다. 신촌지역 교통량을 서울의 남서지
성산포항 / 城山浦港 [지리/인문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에 있는 연안항. 1995년 4월에는 항만 기본계획을 고시하였고, 1996년 12월에는 실시 설계용역을 실시하였으며, 2002년 12월에는 제2차 전국항만(연안항) 기본계획을 고시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주특별자치도 동부 지역의 연안화물
성서집 / 城西集 [종교·철학/유학]
이상언의 문집. 6권 3책. 석인본. 후손 이운호가 남은 원고를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간행 연도는 김회진가 발문을 쓴 것이 1955년 정월이므로 이해에 간행한 듯하다. 권1에는 시 73제 79수, 권2에는 시 104제 118수가 실려 있다. 권3에는 시 121제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