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사건 총 32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사건
징병거부운동 / 徵兵拒否運動 [역사/근대사]
일제가 조선 청년을 강제동원해 일본군에 투입키로 한 징병제(徵兵制)의 시행에 반대해 일어난 전국적인 저항운동. 일제가 조선에 징병제를 실시한 것은 1943년 3월 1일자로 개정병역법을 시행하면서부터이지만, 이전부터 육군지원병, 해군지원병, 학도지원병 등 지원이라는 이름
징용거부운동 / 徵用拒否運動 [역사/근대사]
일제가 중일전쟁 이후 전쟁수행에 필요한 노동력을 충원하기 위해 조선인에 대한 인력동원을 강행하자 이에 저항해 투쟁한 운동. 일제는 조선인을 대량 동원해 일본 본토를 비롯한 사할린, 중국, 남방 등지의 광산, 토목공사장, 군사시설공사장, 군수공장 등에 투입하였다. 이 시
창씨개명거부운동 / 創氏改名拒否運動 [역사/근대사]
일제 강점기 일제에 의해 강요된 일본식 창씨개명을 거부하고 민족적 전통을 확립하고자 투쟁한 민족운동. 총독 미나미(南次郞)는 1939년 11월 10일자 제령 제19호로써 「조선민사령」을 개정하였다. 그리고 다음해인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모든 조선인
천진조약 / 天津條約 [정치·법제/외교]
1885년 4월 18일 천진에서 청국 전권대신 직예총독 겸 북양대신 이홍장과 일본 전권대사 참의 겸 이토 히로부미간에 체결된 조약. 조선에서 청국과 일본의 대립 완화를 위한 회담이 1884년 4월 천진에서 개최되었다. 청정부의 방침은 청일 양국 간분쟁을 피하는데 있었
청산리대첩 / 靑山里大捷 [역사/근대사]
1920년 10월, 김좌진 장군이 이끄는 북로 군정서의 2,500명 독립군이 만주의 청산리에서 5만 명의 일본군을 대파한 전투. 북로 군정서군은 1920년 8월 일본 영사관에 침입하여 일본군 제14사단, 제13사단, 제21사단이 북로 군정서군을 토벌한다는 계획을 알아냈
청일전쟁 / 淸日戰爭 [역사/근대사]
1894-1895년 조선의 지배를 둘러싸고 청과 일본 간에 벌어진 전쟁. 1894년 조선은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청나라에 원군을 요청했다. 1884년 갑신정변 이후 청나라에 밀리던 일본이 조선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6월 톈진 조약을 근거로 조선에 군대
춘생문사건 / 春生門事件 [역사/근대사]
1895년 10월 을미사변에 대한 반동으로 11월 28일에 명성황후계 친미, 친러파의 관리와 군인에 의해 기도되었던 사건. 을미사변 이후 친일정권에 포위되어 불안과 공포에 떨고 있던 국왕 고종을 궁 밖으로 나오게 하여 친일정권을 타도하고 새 정권을 수립하려고 했던 사건
칠원민란 / 漆原民亂 [역사/근대사]
1868년 경상도 칠원현에서 일어난 민란. 현감 조현택의 탐학에 항거하여 일어났다. 주동자인 황상기, 이도여, 전홍이 등은 통문을 돌려 민중을 규합하여 객사에서 단체로 모여 곡(哭)하고 현감을 축출하였으며, 감옥을 파괴하였다. 민란을 야기시킨 현감 조현택은 경상감사로부
크리스찬아카데미사건 / ─事件 [사회/사회구조]
1979년 3월 9일 크리스찬아카데미 중간집단교육 간사들이 구속 기소된 공안사건. 1965년 5월 7일 창립된 ‘한국크리스찬아카데미’는 2000년 사단법인 ‘대화문화아카데미’로 개칭되었다. ‘한국크리스찬아카데미’의 전신은 1959년 강원용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타이항산전투 / 太行山戰鬪 [역사/근대사]
1941년부터 1943년 사이 조선의용대 화북지대가 중국 타이항산맥 일대에서 일본 침략군과 싸운 일련의 전투. 타이항 산맥은 보통 타이항산이라고도 일컫는데, 중국 북경의 남쪽에 위치한 허베이성(河北省)과 산시성(山西省) 경계에 있다. 화북지대는 1942년 7월 조선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