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서정권 / 徐廷權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복싱의 신이라 불리며, 미국원정경기에서 세계 6위에 오른 체육인. 1912∼1984. 전라남도 순천 출생. 부농의 아들로 태어나서 1929년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복싱의 창시자 와타나베 밑에서 수련하면서 무역학교에 다녔다. 1930년 10월 제 5회 전일본선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 舒川 馬梁里 冬柏─ [과학/식물]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있는 동백나무숲. 천연기념물 제169호. 면적 8,265㎡. 서도국민학교에서 4.5㎞ 정도 떨어진 바닷가의 낮은 언덕에서 자라고 있다. 서쪽 바닷가는 바람이 강하여 몇 그루밖에 남지 못하였고 동쪽에만 7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이것들도
서천 신송리의 곰솔 / 舒川 新松里─ [과학/식물]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신송리에 있는 소나무. 높이 17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4.6m이며, 2m 높이에서 줄기가 2개로 갈라져 있다. 남쪽 줄기의 밑둘레는 3.1m이고 북쪽 줄기의 것은 3.05m이다. 수관폭(樹冠幅: 나무의 줄기 위에 있어 많은 가지가 달려 있는
서천갯벌 / 舒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과 장항읍 송림리 유부도 일대의 연안습지. 서천갯벌은 금강 하구에 인접해 있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 3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겨울이 되면, 많은 철새들이 찾는 곳이다. 국토해양부는 2008년 1월 29일에 충청남도 서천군 일원의 갯벌 16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 / 舒川苧山八邑─ [생활/민속]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일대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3호. 서천군 한산면을 중심으로 한 모시 주산지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전승되던 여성 중심의 길쌈노래를 놀이로 재구성한 것이다. 서천·부여·보령 등지는 옛부터 모시 주산지로, 여성들이 주로 실내에서 모
서천화력발전소 / 舒川火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있는 화력발전소. 시설용량 40만㎾(20만㎾급 2기)의 무연탄과 중유 혼소용 화력발전소로 인근 해안에 천연기념물 제169호인 동백정과 마량리 동백나무숲이 있어 경관이 수려하고, 구내에 설치된 무연탄 수송 전용철도 역사를 동백역으로 명명하여
서초구 / 瑞草區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중남부에 위치한 구. 동쪽은 강남구, 서쪽은 관악구와 동작구, 북쪽은 한강, 남쪽은 경기도 과천시와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56'~127°05', 북위 37°25'~37°28'이다. 면적은 47.00㎢이고, 인구는 44만 6764명(2015년 현재
서포리해수욕장 / 西浦里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덕적도의 남쪽에 있는 해수욕장. 서포리해수욕장은 서해안을 대표하는 해수욕장으로, 도서지방에 자리한 해수욕장 가운데 제일로 꼽힌다. 1957년에 개장하였으며, 이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서포리는 1977년 3월에 서해안의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다. 1
서포만필 / 西浦漫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수필·시화평론집. 2권 1책. 필사본. 권1인 상권에 102조, 하권에 161조 등이 실려 있다. 여러 이본들이 전하나, 내용은 거의 같다. 내용의 대부분은 우리나라 시에 관한 시화(詩話)로 이루어져 있다. 또 소설이나 산문에 관계되
서한만 / 西韓灣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철산반도(鐵山半島)와 황해도의 장연반도(張淵半島) 사이의 황해안 연안에 있는 만. 동해안의 동한만에 대비되는 한반도 서안의 만으로 그 폭은 약 150㎞, 만입은 약 70㎞이며 수심은 얕아 30m를 넘지 않는다. 조수가 가장 많이 빠졌을 때에는 연안을 따라 간석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