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서울바레단 / ─團 [예술·체육/무용]

    한국인으로 구성된 최초의 직업 발레단. 1946년 10월 창단된 서울바레단은 한동인의 주도하에 정지수, 장추화 등 단원 12~20명 정도의 규모로 설립되었다. 서울 배제중학교를 졸업하고 한성준에게 무용을 사사받은 한동인은 1939년 일본으로 유학해 아즈마(東勇作)의 제

  • 서울발레시어터 / 서울발레시어터 [예술·체육/무용]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민간 발레단. 1995년 창단. 서울발레시어터를 창단한 제임스 전(전상헌)과 김인희는 부부 사이로서 제임스 전은 모리스 베자르 발레단 및 국립발레단 단원을, 김인희는 국립발레단 및 유니버설발레단 수석 단원을 역임하였다. 조지 발란신의

  • 서울세계무용축제 / ─世界舞踊祝祭 [예술·체육/무용]

    유네스코 국제무용협회 한국본부 주관으로 매년 10월 서울에서 약 3주간 펼쳐지는 국제 현대무용 예술축제.무용제. 서울세계무용축제(Seoul International Dance Festival)는 유네스코 국제무용협회 한국본부(회장 이종호) 주최로 해마다 열리는 행사로,

  • 서울시립근로자합숙소 / ─市立勤勞者合宿所 [사회/사회구조]

    1956년 12월 27일과 1961년 12월 23일의 서울특별시조례에의해 설치된 영세 근로자 합숙소. 서울시립근로자합숙소는 서울특별시립 성동근로자합숙소, 동대문근로자합숙소, 남대문근로자합숙소, 영등포근로자합숙소 등 서울시가 설치, 운영한 4곳의 근로자합숙소를 말한다.

  • 서울시립소녀직업보도소 / ─市立少女職業保導所 [사회/사회구조]

    1957년 설치된 서울특별시립 소녀관이 모태가 되어 1962년 11월 12일 개관한 직업전문학교. 서울특별시립 소녀직업보도소는 1957년 2월 7일 설치된 서울특별시립 소녀관이 모태가 된 직업전문학교이다. 직업보도소는 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노동자와 청소년을 위한 직업학

  • 서울시무용단 / ─市舞踊團 [예술·체육/무용]

    전통문화의 계승과 새시대의 무용문화를 창달하고 이끌어간다는 취지 아래 창단된 무용단. 1974년 국립극장에서 성진무(星辰舞)·태평무(太平舞)·처용무(處容舞)·학무(鶴舞)·연화대무(蓮花臺舞) 등의 레퍼토리를 가지고 창단공연을 가진 이래 매년 봄·가을 2회의 정기공연을 가

  • 서울아시아경기대회 / ─競技大會 [예술·체육/체육]

    1986년 9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제10회 아시아 경기대회.국제종합경기대회. 1951년 인도의 뉴델리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된 뒤 35년 만인 1986년 제10회 대회가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에서 ‘영원한 전진(Ever Onward)’이라는 표어

  • 서울아시안게임 / Seoul Asian Game [예술·체육]

    1986년 9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개최된 제10회 아시안게임. 36개 아시아올림픽평의회 OCA회원국 중 북한을 비롯한 몇몇 공산권 국가들을 제외한 27개국이 출전, 중공이 금메달 94개로 종합 1위, 한국이 금메달 93개로 2위, 일본이 금메달 58개로 3위를

  • 서울어린이대공원 / ─大公園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에 있는 가족테마공원. 1973년 5월 5일(제51회 어린이날) 개원하였고, 53만 여㎡의 넓은 공간 속에 동물원, 식물원, 놀이동산 및 다양한 공연시설과 체험공간이 가득한 어린이를 위한 가족테마공원이다. 이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관람 편의성 향상을

  • 서울역 / ─驛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에 있는 기차역. 1900년 7월 8일경부선의 경성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후 1905년 3월 24일남대문역으로 개칭하였다가 1915년 10월 15일에 다시 경성역으로 환원하였다. 1925년 9월 30일에 서울역사가 준공되었는데, 도로면에서 볼 때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