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서울국제연극제 / ─國際演劇祭 [예술·체육/연극]
정부가 창작극 육성을 통해 민족극의 토대를 튼튼히 하기 위하여 1977년에 마련한 연극축전. 1년에 한 번씩, 가을(대략 8월 말부터 10월 중순까지)에 열린다. 1977년도에 ‘대한민국연극제’란 명칭으로 문예진흥원의 주최 행사로 출범했으며 새로 쓰여진 창작극을 출품한
서울국제영화제 / 서울國際映畵祭 [예술·체육/영화]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디지털 영화를 소개하는 경쟁(부분 비경쟁) 영화제. 2000년 8월 15일 제1회 ‘서울넷패스티벌’이란 이름으로 처음 개최되었고, 2003년 ‘서울넷&필름페스티벌’로 명칭을 변경하여 개최하였다. 2007년에는 ‘서울국제영화제’로 명칭 변경하였
서울국제음악제 / ─國際音樂祭 [예술·체육/현대음악]
국제음악제로서의 명성과 권위를 정착시키고 우리 나라 음악을 국내외에 소개한다는 취지 아래 문화공보부가 주최하고 한국음악협회가 주관하여 실시한 음악행사. 1975년 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우리 나라 신진음악인들을 초청하여 열었던 ‘광복30주년기념음악제’가 성공한 것이 계
서울국제즉흥춤페스티벌 / ─國際卽興─ [예술·체육/무용]
국제공연예술프로젝트(ipap)에서 매년 4~6월경 대학로 등지에서 주최하는 즉흥무용 예술축제.즉흥무용축제. 2001년 시작된 즉흥무용 축제로 매년 4~6월경 주로 대학로 등지에서 펼쳐진다.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진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국내에서 유일한 즉흥무용
서울남대문시장 / ─南大門市場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에 있는 상설시장. 1995년 현재 남대문시장은 대지면적 2만 467㎡, 건물연면적 6만 4613㎡에 종사자수가 9,900명으로 서울 최대의 서민시장이다. 노점상에서부터 현대식 백화점에 이르기까지 고루 갖추고 있으며, 점포수만 5,400개이고 시장
서울내부순환로 / ─內部循環路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대교 북단에서 성동구 성수동동부간선도로까지 연결하는 순환 자동차전용도로. 2010년 9월 현재 서울내부순환로는 터널 2개소(홍지문터널, 정릉터널 등 총 연장 3,542m)와 나들목 10개소(성산, 연희, 홍제, 홍은, 국민대입구, 정릉, 길음, 월
서울대공원 / ─大公園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과천시 광명길 42에 있는 세계적인 규모의 종합테마공원. 1984년 개장한 서울대공원은 370여종 3,900여 마리의 세계 각국 동물이 보호, 관리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서울동물원과 놀이동산인 서울랜드, 형형색색의 장미원과 귀여운 동물의 보금자리인 어린이동
서울독립영화제 / ─獨立映畵祭 [예술·체육/영화]
극, 실험, 다큐, 애니메이션 등 장르에 상관없이 독립영화의 교류와 활성화를 위해 1975년부터 시작한 경쟁영화제. 1975년 ‘청소년영화제’란 명칭으로 영화진흥공사와 한국방송공사의 주최로 1일간 열리는 영화제로 출발하여 1988년까지 진행되었으나 1989년부터 영화진
서울동대문시장 / ─東大門市場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예지동에 있는 상설시장. 1995년 현재 대지면적 9,920㎡, 건물연면적 2만 3471㎡의 규모에 종사자수는 2,880명이다. 상점은 대부분 도매상이며, 상권은 서울시내의 각 시장은 물론, 수원·대전·대구·부산 그리고 강원도지방까지 포함된다. 한편,
서울랜드 / 서울랜드 [예술·체육/체육]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있는 종합위락시설. 1988년 5월 10일 총부지 24만평 대지위에 개장하였다. 제24회 서울올림픽에 대비한 사업의 일환으로 한일시멘트공업주식회사의 계열사인 한일건설사업주식회사가 457억원의 시설투자로 건설된 국내 최초 및 최대의 ‘한국적 디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