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서울 선농단 향나무 / ─先農壇 香─ [과학/식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에 있는 향나무. 천연기념물 제240호. 나무의 나이는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높이 약 10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2m이며, 가지는 지상 2.5m 높이에서 동서로 8.7m, 남북으로 10.4m 퍼졌다.
서울 신림동 굴참나무 / ─新林洞─ [과학/식물]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있는 굴참나무. 천연기념물 제271호. 높이 17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2.5m, 가지의 길이는 동서가 19.9m, 남북이 14.7m이다. 나무의 나이는 약 1,0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굴참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며 우리나라의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 ─永徽園山査─ [과학/식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영휘원 내에 소재한 산사나무. 2009년 10월 15일에 천연기념물 제506호로 지정되었다. 영휘원 산사나무는 한 아름이 훨씬 넘는 큰 규모에 줄기의 모습도 특이하고 수형 또한 아름다워 우리나라의 산사나무를 대표한다. 조선 제26대 고종황제
서울 재동 백송 / ─齋洞 白松 [과학/식물]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에 있는 백송. 천연기념물 제8호. 창덕여자고등학교 본관 자리 앞 서쪽 끝에 서 있으며 나이는 6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높이는 15m, 가슴 높이의 줄기 둘레는 2.1m이며, 가지는 동서로 13m, 남북으로 14m 정도 퍼졌다. 우리 나라에서
서울 조계사 백송 / ─曹溪寺 白松 [과학/식물]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에 있는 백송. 천연기념물 제9호. 수령은 알 수 없다. 백송은 소나무과에 딸린 상록교목이며 원산지에서는 높이 25∼30m까지 자란다고 한다. 높이 10m, 가슴 높이의 줄기 둘레 1.64m이며, 7m 정도 높이에서 7개로 갈라졌으나 조계사 대웅
서울 탑골공원 / ─塔─公園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에 있는 서울 최초의 근대식 공원. 현재 공원의 면적은 1만 5,720.9㎡이며, 경내에는 보물 제3호인 원각사비가 옛 모습 그대로 자리하고 있다. 이 밖에 3·1운동의 대표자 손병희(孫秉熙)의 동상과 1966년 5월에 제막한 높이 10m의 3·1
서울 효창공원 / ─孝昌公園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에 있는 묘원.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몸바친 애국지사들의 유해를 모신 곳으로 1989년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원래 조선 22대왕 정조의 맏아들로 태어나 세자책봉까지 받았으나 다섯 살 때 요절한 문효세자(文孝世子)의 무덤이 있던 곳으로 효창
서울경동시장 / ─京東市場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과 청량리 사이 고산자로(古山子路) 부근에서 열리는 상설시장. 1995년 현재 경동시장은 대지면적 8,058㎡, 건물연면적 2만 35㎡, 점포수 678개 등의 규모이고, 종사자수는 1,100명이다. 주된 상품은 산채류·인삼·건어물·기타 농수산물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高速─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에 있는 고속버스터미널. 경부선(京釜線), 구마선(邱馬線), 영동선(嶺東線) 고속버스의 서울 기점, 종점이다. 지금까지 터미널 내에 승객을 위한 위락시설과 다양한 도매상가를 유치하여 도심속 유통센터로 활용되고 있다. 총면적 8만 9,073㎡, 연
서울국제무용제 / ─國際舞踊祭 [예술·체육/무용]
우리 나라 최대의 무용제전(舞踊祭典). 우수한 창작무용공연을 통하여 우리 나라의 무용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무용인들의 창작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1979년부터 매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과 한국무용협회의 공동 주최로 개최되었으며, 1986년부터는 순수 민간예술인들의 자율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