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서상달 / 徐上達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의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살았다. 소학교를 졸업하고 장죽심(張竹心)에게 「진주검무」를 배웠다. 1967년 1월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인 「진주검무」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후계자로

  • 서선선 / 西鮮線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강동군승호리역과 성천군신성천역 사이에 부설된 철도. 길이 68.4㎞. 이 철도는 서선중앙철도회사에 의해 건설된 사설철도로 본사를 경성(京城)에 두었으며, 자본금은 1만 5,000원이다. 승호리역에서 석름역까지의 29.6㎞는 1939년 7월에 개통되었으며, 석름

  • 서성구역 / 西城區域 [지리/인문지리]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의 중심부 서북쪽에 위치한 구역. 서성구역은 동쪽으로 대성구역, 남쪽으로 모란봉구역과 보통강구역, 서쪽으로 형제산구역, 북쪽으로 룡성구역과 접해 있다. 면적은 9.3㎢이고, 인구는 14만 7,138명(2008년)이다. 구역의 산업시설로는 김종태전기

  • 서수라 / 西水羅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 서수라동에 있는 지명. 우리나라 최북단의 어항(漁港)이며 군항(軍港)이기도 하다. 조산만(造山灣)의 동쪽 끝에 있으며, 두만강 하류에 있어 러시아와 연결되는 도로가 있고, 부근에 만포(晩浦)ㆍ서번포(西藩浦) 등의 석호(潟湖)가 있다. 이 지역이

  • 서술어 / 敍述語 [언어/언어/문자]

    문장성분(文章成分)의 하나. 한 문장의 주어로 제시된 인물이나 사물에 대하여 그 동작·상태·성질·유개념을 설명하는 말로서, 주어와 함께 문장의 두 주요성분을 이룬다.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주술관계)를 가진 구성을 주술구성(主述構成)이라 하는데, 전통문법(傳統文法)의 ‘

  • 서양자 / 婿養子 [사회/가족]

    사위를 삼을 목적으로 입양시키는 양자. 양자와 마찬가지로 양부모와의 사이에 양친자관계(養親子關係)가 발생하지만, 서양자는 양친자관계의 발생 또는 소멸이 전적으로 혼인관계의 발생이나 소멸에 따르는 점에서 양자와 다르다. 그러나 입양의 무효나 취소 또는 파양(罷養)은 혼인

  • 서울 문묘 은행나무 / ─文廟 銀杏─ [과학/동물]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에 있는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59호. 이 은행나무는 1.5m 높이에서 두 개로 갈라진 다음 큰 줄기는 4m 정도에서 고사하고 그 자리에 맹아(萌芽: 식물의 새로 트는 싹)가 자라서 현재의 크기에 이르렀다. 밑에서 자란 7개의 맹아도 원

  •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 / ─付巖洞白石洞天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에 있는 명승.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은 북악산 북사면의 백사실계곡에 위치한 조선시대 별서이다. 1800년대 도성 가까이에 조성되었던 별서 관련 유적으로 별서정원의 유구와 바위에 암각된 각자, 동천 경역 내의 지형과 산림이 잘 보존되어 있는 명승이

  • 서울 삼청동 등나무 / ─三淸洞 藤─ [과학/식물]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국무총리공관 내에 있는 등나무. 천연기념물 제254호. 이 나무의 나이는 약 750년으로 추정되며, 길이가 약 16m, 뿌리목 부근의 지름이 60㎝ 정도이다. 줄기에 상처가 있어서 1979년 및 1984년에 외과적 처치를 받았다. 등나무는 낙엽

  • 서울 삼청동 측백나무 / ─三淸洞 側栢─ [과학/식물]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국무총리공관 내에 있는 측백나무. 천연기념물 제255호. 높이는 11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2.25m이며, 수령은 3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측백나무는 키가 낮은 관목상(灌木狀 : 키가 작고 중심 줄기가 분명하지 않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