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유적 총 1,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유적
경주천군동사지 / 慶州千軍洞寺址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터.사적 절터는 경주 서라벌초등학교에서 동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데, 3층석탑 2기가 남아 있다. 절의 이름은 알 수 없지만, 석탑의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1938년에 일
경주충효동집터 / 慶州忠孝洞집터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住居址]. 집터 5동의 평면형태는 모두 긴네모모양[長方形]으로서 장축방향은 동서향이다. 크기는 길이 403∼810㎝, 너비 337∼380㎝, 깊이 10∼20㎝ 정도이다. 집터의 내부시설로는 화덕자리[爐址], 기둥구멍[柱穴]
경주평동유적 / 慶州坪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경주시 평동에 있는 초기 철기시대의 분묘 및 신석기시대 이래의 생활유적. 경주 남산의 동사면에 있으며, 한경(漢鏡)이 출토된 경주 조양동유적과는 평야를 가운데 두고 마주하고 있다. 1900년대 초 구덩식돌덧널[竪穴式石槨]에서 동검 1점과 칼자루끝장식[劍把頭飾]
경주포석정지 / 慶州鮑石亭址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의례 및 연회 장소였던 누정터.의례시설. 사적. 사적 제1호. 조성연대는 자세하지 않으나,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정자는 없어졌고, 포어(鮑魚)의 형태를 모방하여 만든 수구만 남아 있다. 1915년 유구를 개
경주향교 / 慶州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에 있는 향교. 1492년(성종 23) 경주부윤 최응현(崔應賢)이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성전이 소실되어 위패를 도덕산(道德山) 두덕암(斗德庵)으로 옮겼다가 1600년(선조 33) 경주 부윤 이시발(李時發)이 대성전과 전사청을 중건하고 위패를
경주향교 대성전 / 慶州鄕校 大成殿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조선시대 공자와 선유의 위패를 모신 문묘.유교건축. 보물. 보물 제1727호. 경주향교는 계림(鷄林)의 서편, 문천(蚊川)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신라때 요석궁이 있던 곳이라 전해오는 이 터는 비교적 평탄한 지형이다. 향교는 전체적으로 동남향하
경주효불효교지 / 慶州孝不孝橋址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다리터.시도기념물. 1982년 8월 4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2004년 11월 27일 지정 해제되었으며, 같은 날 사적 제457호로 승격, 재지정되었다[기존의 경주효불효교지(경주월정교지)가 경주일정
경주흥륜사지 / 慶州興輪寺址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에서 최초로 세워진 절인 흥륜사의 사찰터.사적. 사적 제15호. 지정면적 1만1683㎡. 흥륜사는 법흥왕이 528년 불교를 공인한 뒤 최초로 세워진 절로서, 진흥왕 때인 544년에 완성되었다.이 절이 완성된 뒤 진흥왕은 대왕흥륜사(大
경포대 / 鏡浦臺 [예술·체육/건축]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후기 강원도 존무사 박숙정이 건립한 누정.누각·조경건축물. 보물. 정면 5칸, 측면 5칸의 팔작지붕건물. 보물 제2046호. 1326년(충숙왕 13) 강원도 존무사(存撫使) 박숙정(朴淑貞)에 의하여 신라 사선(四仙)이 놀던 방해정 뒷산 인월사(
경행서원 / 景行書院 [교육/교육]
강원도 동해시 송정동에 있던 서원. 1631년(인조 9) 2월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효원(金孝元)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삼척 교리북정산(北亭山) 밑에 사우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1년 2월북정산 서쪽 기슭으로 옮기고 유애비(遺愛碑)를 세웠다. 18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