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총 69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선화양인모던조선외래어사전 / 鮮和兩人모던朝鮮外來語辭典 [언어/언어/문자]
1937년 이종극이 편찬한 종합 외래어사전. 경성의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발행된 것으로 출판 당시에는『선화양인 모던조선외래어사전(鮮和兩人 모던朝鮮外來語辭典)』이라는 이름으로 출간되었다. 속표지 앞에는 일본의 「오십음색인(五十音索引)」, 한국의 「가나다색인(索引)」이 있으
설음 / 舌音 [언어/언어/문자]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초성오음(初聲五音)의 하나. 『훈민정음』에서는 ‘ㄷ·ㄸ·ㅌ·ㄴ’이 이에 속하는데, ‘斗·覃·呑·那’의 초성에 각각 해당된다. 기본자로 제시한 ‘ㄴ’은 상설부상악지형(象舌附上一腭之形 :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형상을 본뜸.)이라 하였는데, 이에 따르
설축 / 舌縮 [언어/언어/문자]
중성 ‘ㆍ, ㅗ, ㅏ’가 ‘ㅡ, ㅜ, ㅓ’와 대립되는 음성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설근후축(舌根後縮)’의 의미로 사용한 『훈민정음』의 용어.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는 중성의 기본자 ‘ㆍ’, ‘ㅡ’, ‘ㅣ’의 음성적 특징을 각각 ‘설축(舌縮)’, ‘설소축(舌小縮)
설측음 / 舌側音 [언어/언어/문자]
조음방식(調音方式)에 의한 자음 분류의 하나. 혀를 이, 잇몸, 경구개 등에 붙이고. 그 양쪽 혹은 한쪽으로 공기의 통로를 만들어 기류를 내보냄으로써 만들어지는 자음을 가리킨다. 현대한국어의 ‘발’처럼 음절말 위치에서 발음되는 /ㄹ/은 설측음 중 치음(齒音) 혹은 치조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언해 / 聖觀自在求修六字禪定諺解 [언어/언어/문자]
관음보살의 주문 6자를 암송하면 온갖 번뇌를 끊고 불과(佛果)를 얻는다는 내용의 책. 불분권 1책. 1560년(명종 15) 평안도 평원의 숙천(肅川)에서 간행되었다. 발문에 의하면, 이 책은 원래 우리나라에 없었는데, 중국에서 구득하여서 언해하여 간행하였다고 한다.
성모 / 聲母 [언어/언어/문자]
한어(漢語)의 음절 첫머리에 나타나는 자음(子音). 한어의 음절은 IMVET로 분석되며, I(initial의 약자)가 성모, M(medial)이 개음(介音), V(vowel)가 주모음(主母音), E(ending)가 운미(韻尾), T(tone)가 음절 전체에 걸치는 성조
성조 / 聲調 [언어/언어/문자]
단어를 이루고 있는 각 음절 위에 배치된 의미 있는 일정한 높이(高低, pitch). 성조언어가 가지는 성조의 기본적인 특성은 대개 네 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성조는 어휘의 뜻을 갈라내는 데 쓰이는 의미있는 높낮이라야 한다. 가령 경상도방언의 /말/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世宗大王紀念事業會 [언어/언어/문자]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해 이를 후손에게 계승하기 위한 목적으로 1957년 5월 14일에 설립된 공익 법인. 1956년 10월 9일 510돌 한글날에 학계·예술계와 교육계 및 28개 문화 단체 대표들의 발의로 발기 창립되었고, 1957년 5월 14일 문교부장관으로
션영문법 / 鮮英文法 [언어/언어/문자]
1914년 언더우드가 한국어의 음성적 특징을 보완해 간행한 책. 1914년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가 조선어와 영어를 비교 검토하여 1890년 저술한 『한영문법(韓英文法)』에 한국어의 음성적 특징을 보완해 일본의 출판사(Kelly & Wals
셩모셩월 / 聖母聖月 [언어/언어/문자]
5월 성모성월과 관련된 각종 자료를 모은 문헌집. 신식활자본. 번역본. 세로쓰기 한글 전용문. 5월 성모성월에 대한 설명과 32일 동안의 묵상 자료와 날짜마다 해야 할 기도, 행해야 할 덕목, 성인의 사적 등의 자료를 모은 문헌집이다. 『셩모셩월』은 표지, 속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