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삼운성휘 / 三韻聲彙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홍계희(洪啓禧) 저, 목판본. 1769년(영조 45) 2책(영본), 全2권, 補1권 3책. 홍계희가 중국의《홍무정운(洪武正韻)》,《사성통해(四聲通解)》,《삼운통고(三韻通考)》등을 참고하여 편찬한 운서이다. 서미(書眉)에 두주(頭註)가
삼운성휘보 / 三韻聲彙補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홍계희(洪啓禧) 저, 목판본. 불분권 1책(68장). 중국의《홍무정운(洪武正韻)》,《삼운통고(三韻通考)》,《사성통해(四聲通解)》등을 참고하여 이용하기 쉽도록 편찬한 운서이다.
삼운통고 / 三韻通考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편찬된 운서. 1책. 편자, 연대 미상. 내용은 평·상·거·입성 등 사성 순으로 한자를 배열한 106운계『예부운략』을 우리나라 사람이 이용하기 쉽도록 같은 운을 가진 평·상·거성 한자들을 한데 모아 3계단으로 나열, 입성자만 책 끝에 따로 모아 나열하는 방식
삼의당고 / 三宜堂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여류문인 김부인(金夫人)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삼의당고』의 시에는 남편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 많다. 『삼의당고』의 「춘규사(春閨詞)」 8수는 봄날에 남편을 그리는 여심을 노래한 것으로 매우 서정적이다. 「오동우(梧桐雨)」·「도의사(擣
삼일신고 / 三一神誥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의 하나. <삼일신고><천부경><팔리훈><신사기> 등의 계시경전과 나철이 저술하고 서울이 주해를 붙인 <신리대전>, 서일이 저술한 <회심경> 그리고 윤세복이 임오교변 당시 저술한 <삼법회통>이 있다. 이 중에서 천부경, 삼일신고, 팔리훈은 각각 조화경, 교
삼전론 / 三戰論 [종교·철학/천도교]
1903년 동학의 3대 교주 손병희가 일본에 머무르면서 지은 글. 삼전(三戰)이란 도전(道戰), 재전(財戰), 언전(言戰)을 말한다. 손병희는 일본과 러시아라는 강국 사이에 처한 조선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보고, 국민이 합심단결하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
삼조보감 / 三朝寶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 정조·순조·익종의 사적을 수록한 책. 14권 4책. 목판본. 세종의 명령으로 편찬이 시작되고 세조대에 첫 번째 책이 나온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이 책은 조인영 등이 헌종의 명령을 받아 1848년(헌종 14)에 완성한 것이다. 앞머리에 헌종의
삼족당유고 / 三足堂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시인·서화가 위세보(魏世寶)의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이 책은 아들 문덕(文德)이 편집한 것을 1936년 후손 계룡(啓龍) 등이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6대손 정(楨)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254수, 서(序) 2편, 기(記)
삼죽사류 / 三竹詞流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인 조황(趙榥)이 편저한 시조집. 1책. 필사본. 『삼죽사류』에 수록된 작품은 인도행(人道行) 10수, 기구어(箕裘語) 40수, 주로원격양가(酒老園擊壤歌) 30수, 병이음(秉彛吟) 20수, 훈민가(訓民歌) 10수, 백옥루상량문(白玉樓上樑文) 1수 등 모
삼학역어 / 三學譯語 [언어/언어/문자]
1789년에 문신 이의봉(李義鳳)이 편찬한 외국어 어학서. 필사본. 1권 1책. 『삼학역어』는 일본어(日本語)·만주어(滿洲語)·몽골어[蒙古語] 등 3개국 말을 해설한 책이다. 1789년(정조 13)에 이의봉(李義鳳)이 18세기에 간행된 『몽어유해(蒙語類解)』·『동문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