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사변록 / 思辨錄 [종교·철학/유학]

    박세당이 ≪대학≫·≪중용≫·≪논어≫·≪맹자≫·≪상서≫·≪시경≫을 주해한 책. 14책. 1책 ≪대학≫, 2책 ≪중용≫, 3책 ≪논어≫, 4·5책 ≪맹자≫, 6∼9책 ≪상서≫, 10∼14책 ≪시경≫ 등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주력한 것은 사서에 관한

  • 사상계 / 思想界 [언론·출판]

    1953년 4월 장준하 주재로 창간된 월간 종합교양지. 1952년 9월 부산에서 창간된 <사상>(국민사상지도원 발행, 통권 4호)지를 인수한 것으로,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철학, 교양, 문학, 예술 등 다방면에 걸친 권위있는 글을 실어 1950년대부터 지식인,

  • 사서삼경 / 四書三經 [문학/한문학]

    유교의 기본 7가지 경전. 『논어』·『맹자』·『대학』·『중용』·『시경』·『서경』·『역경』을 지칭한다.『대학』과『중용』은 원래『예기』의 편명이었던 것을 주자(朱子)가『논어집주』10권과『맹자집주』7권에『대학장구』1권,『중용장구』1권을 더하여 사서라 하고『사서혹문(四書或問)

  • 사서율곡언해 / 四書栗谷諺解 [언어/언어/문자]

    1576년(선조 9) 『대학(大學)』·『중용(中庸)』·『논어(論語)』·『맹자(孟子)』 등의 사서를 이이(李珥)가 선조의 명을 받아 언해한 책. 이 책의 토(吐)나 석(釋)은 관찬본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정확(精確)하여 관찬본에 끼친 영향이 컸으며, 특히 일원성(一元

  • 사서집 / 沙西集 [종교·철학/유학]

    전식의 문집. 목판본, 서:이휘녕, 10권 5책. 1847년(현종13)에 7대손 전종한이 상주의 장노와 의논한 다음 각 서원에 통문을 띄워 재물을 모으는 한편 사우의 도움을 받아 문집을 편찬하였는데, 1862년(철종 13)에 이휘녕의 서문과 자신의 발문을 붙여 9권 5

  • 사성재선생문집 / 思誠齋先生文集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4책이며, 판종은 신연활자본(新沿活字本)이다. 규격은 29.2×19.7cm이고, 반곽은 21.2×16.2cm이다. 표제는 사성재집(思誠齋集)이고, 판심제는 사성재선생문집(思誠齋先生文集)이다. 윤우학(尹禹學)이 지

  • 사성통해 / 四聲通解 [언어/언어/문자]

    1517년(중종 12) 최세진(崔世珍)이 편찬한 중국본토자음용(中國本土字音用) 운서. 이 책은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1455)의 음계를 보충하고, 자해(字解)가 없는 신숙주(申叔舟)의 『사성통고』를 보완하기 위해 편찬되었다. 구성 내용은 서문 다음에 운모정국(

  • 사송유초 / 詞訟類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편자미상, 필사본, 불분권 1책(35장). 지방관이던 김백간(金伯幹)이 각종 법전에서 소송의 심리판결에 필요한 법조항을 뽑아 편찬한《詞訟類聚》를 필사한 책이다.

  • 사약별감이력서 / 司鑰別監履歷書 [정치·법제]

    1908년 2월 궁궐 내 사약(司鑰)과 별감(別監)의 이력을 정리한 문서. 제1면 우측 상단에 '장서각인'이 있다. 문서에는 사약과 별감 이외에도 각감청 소속의 각감, 가각감을 비롯해 화초지기, 수공, 숙수 등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당시 궁궐의 운영상을 파악할 수

  • 사요취선 / 史要聚選 [역사]

    별사류(別史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5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4.5×17.7cm, 반곽은 18.8×15.3cm이다. 표제는 사요(史要), 판심제는 사요취선(史要聚選)이다. 조선시대 권이생(權以生)이 편찬한 책이다. 서문(序文)은 권이생이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