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창랑곡 / 滄浪曲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조선시대 가사.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61행이다. 부귀공명을 버리고 일간어죽(一竿漁竹)을 벗삼아 창랑(滄浪)에서 살겠다는, 어부가(漁父歌) 계열의 노래다. “이몸이 한가하여/산수간에 소요하니/부귀공명 듯없기는/연하고질(煙霞痼疾) 병이로다

  • 창랑집 / 滄浪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정암수의 시·사·소·세계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이 문집의 권두에는 송병선(宋秉璿)의 서문이, 권말에는 정희(鄭㵙)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세계(世系)·사(詞)·시·소(疏)·효행지(孝行誌)·묘갈명, 권2는 시와 손자 준(雋)의 문집

  • 창렬암기 / 彰烈巖記 [문학/고전산문]

    고전산문. 조선시대 단종이 영월에 귀양을 가 죽임을 당하자 곁에서 모시던 시종들이 1457년(세조 3) 금장강(錦障江)에 나아가 목숨을 버렸다. 고을 사람들이 그들을 측은하게 여겨 낙화암(落花巖)이라 이름을 지었는데, 훗날 영월부사 조하망(曺夏望)은 '낙화'라는 이름을

  • 창명가 / 昌明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작자는 자기 시대를 살해지심(殺害之心)이 발동하여 세상사람이 도탄에 빠져 있다고 보고, 또 중국이 망하게 되어(1860년의 북경함락을 지칭) 우리 나라도 순망지탄(脣亡之歎)이 있게 되었으니 보국안민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고 문제를 제기하고

  • 창선가 / 昌善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 가사(東學歌辭). 목판본. 김주희(金周熙)가 지었다고 전하나 보다 자세한 고증이 요구된다. 1929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과 국문본 2종으로 간행되었으며, 『용담유사 龍潭遺詞』 권22에 수록되어 있다. 이 가사는 「시절가 時

  • 창세가 / 創世歌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지역에서 전승되던 서사무가. 1923년 당시 함경남도 함흥군 운전면 본궁리에서 여무(女巫) 금쌍돌이가 구연한 것을 손진태(孫晉泰)가 채록하여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에 수록한 것이다. 신화소는 소박하고 단순하나, 인간 세상이 태초에 어떻게 형성된 것인가를

  • 창세신화 / 創世神話 [문학/구비문학]

    인간 세계의 창조에 관한 신화.천지개벽신화. 창세신화는 신화로서 신성성을 획득하려면 창세신(創世神)에 대한 제전(祭典)이 확보되어야 한다. 경기도 오산 열두거리굿 중 ‘시루말’거리나 제주도 큰 굿 중 ‘초감제’는 창세신에 대한 제전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채록된 창

  • 창암집 / 蒼岩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시인 김상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6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1에 사언시 8수, 오언절구 38수, 칠언절구 38수, 오언율시 46수, 권2에 칠언율시 65수, 오언고시 3수, 칠언고시 1수, 권3에 「족보서(族譜序)」·「기일록서(忌日錄序)」·「가록서(家錄序

  • 창의가 / 倡義歌 [문학/고전시가]

    신태식(申泰植)이 지은 의병가사. 일제 침략에 항거하여 일어난 의병장의 한 사람인 작자가 의병활동을 한 내력을 읊은 가사이다. 작자의 친필본은 전하지 않고 사본으로만 전하다가 『문학사상(文學思想)』(1973.2. 통권 5호)에 게재되어 일반에게 널리 알려졌다. 「창의가

  • 창해역사설화 / 滄海力士說話 [문학/구비문학]

    중국의 진시황(秦始皇)을 박랑사에서 습격하였던 창해역사에 관한 설화. 주로 강원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설화로서 「창해역사의 탄생담」·「장량(張良)과 창해역사」 등이 채록되었다. 설화에 의하면, 창해역사는 고향이 강원도 강릉이다. 강릉 남대천에 큰 두레박이 떠내려가는 것을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