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차좌일 / 車佐一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사명자시집』을 저술한 시인. 차천로(車天輅)의 6대손이며, 아버지는 차윤태(車潤泰)이다. 어머니 백씨(白氏)가 그를 잉태하였을 때 하지장(賀知章)을 꿈에 보아 그의 자와 호를 따라 지었다 한다. 하지장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소식(蘇軾)의 흔적도 많다. 경사

  • 찬기파랑가 / 讚佛謠 [문학/구비문학]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고 기리면서 불교에 귀의하고자 하는 마음과 극락염원을 소망한 노래. 찬불요는 불교의식요의 일종이며, 불교의식요는 또한 신앙의식요의 일종이다. 불교 사찰을 중심으로 한 찬불요로는「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가 있는데, 이것은 고려 때 균여(均如)가

  • 찬신무가 / 讚神巫歌 [문학/구비문학]

    신의 공덕과 외모를 찬양하는 내용의 무가. 신의 공덕을 기리거나, 신의 외모를 묘사하는 내용이 중심이 된다. 고려가요 「처용가」의 “만두삽화(滿頭揷花) 계오샤 기울어신 머리예/아으 수명장원(壽命長遠)하샤 넙거신 니마해/산상(山象)이숫 깅어신 눈섭에/애인샹견(愛人相見)하

  • 참새 기다리는 호랑이 [문학/구비문학]

    참새를 잡게 해준다는 토끼의 꾀에 넘어가 화상을 입은 호랑이에 관한 설화.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꾀쟁이 토끼(혹은 여우)’와 ‘바보 호랑이’의 형식으로 이야기되고 있지만, 외국에서는 ‘꾀쟁이 여우(혹은 이리)’와 ‘바보 곰’의 형식으로 이야기된다. 이야기의 줄거리는 다

  • 참선곡 / 參禪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형(智瑩)이 지은 불교가사. 내용은 온갖 세설이 다 허물이 된다는 부정적인 의혹심으로 노래말을 시작하여, 그래도 잘 살피어 명매이둔(明昧利鈍) 중에서 허물되지 않는 묘리를 찾기를 권하는 것이다. 또한, 현선상(現善相)을 주인으로 삼고 시심마(是甚麽)로 방

  • 참요 / 讖謠 [문학/구비문학]

    음양오행설에 바탕을 두고 앞일에 대한 좋고 궂음을 예언하는 뜻으로 지어 부르는 노래.민요. 참위설(讖緯說)의 영향에서 나온 것으로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의자왕 20년(660)에 귀신이 나타나서 “백제는 망한다. 백제는 망한다.”고 외친 다음 땅속에 들어가므로 임금이

  • 창가 / 唱歌 [문학/현대문학]

    개화기 신체시의 형성과 전개에 징검다리 구실을 한 시가 양식의 하나. 창가의 효시를 이룬 작품은 1876년 새문안교회 교인들이 지어서 부른 '황제탄신경축가'이다. 대형 창가는 여러 가지 사실들을 차례로 이야기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것은 서사시 내지 이야기시의 성격

  • 창가루외사 / 倉可樓外史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려가 『동사제강』·『동각산록』·『이상국일기』 등 야사를 집성한 총서.야사집. 현전 서목을 살펴보면, 홍만종(洪萬宗)의 『동사제강(東史提綱)』 상·하(제1책), 김군석(金君錫)의 『동각산록(東閣散錄)』2∼26(제13∼25책), 이원익(李元翼)의 『이

  • 창도가 / 昌道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집. 『창도가』는 「수시경찰가(隨時警察歌)」·「경시가(警時歌)」·「수덕천선가(修德遷善歌)」·「지시안심가(知時安心歌)」·「시운가(時運歌)」·「지본일신가(知本一身歌)」·「안심경세가(安心警世歌)」·「오행찬미가(五行讚美歌)」 등의 8편으로 구성되어 있

  • 창란호연록 / 昌蘭好緣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3권 13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에는 다양한 갈등이 복합되어 있으나 부부 사이의 갈등이 핵심적이다. 희부부는 원수지간이고 우부부는 은인지간이다. 형제간에 서로 대조되는 상황을 설정하여 부부의 도리와 애정 사이의 갈등을 문제화하고 있다.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