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이붕수 / 李鵬壽 [종교·철학/유학]
1548년(명종 3)∼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의병장. 아버지는 팽년, 어머니는 여씨이다. 임진왜란시 북평사 정문부를 만나 강문우, 종성부사 정현룡과 함께 창의기병하여 정문부를 대장으로 추대하고 그는 별장이 되었다.1593년(선조 26) 1월 단천전투에서 승
이사명 / 李師命 [종교·철학/유학]
1647(인조 25)∼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 증손, 할아버지는 구여, 아버지는 민적, 어머니는 황일호의 딸이다. 1680년(숙종 6) 춘당대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 해 정언으로 임용되고 서인에 가담하였다.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병조판
이산두 / 李山斗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0∼1772). 1732년(영조 8)에 유생으로 강경거수가 되어 직부전시의 특혜를 받았다. 기로소에 들어갔을 때 영조는 그를 자주 볼 수 없음을 안타까이 여겨 공인에게 그의 도상을 그려 오라 하고, 원손에게 ‘구십세상’이라는 네 글자를 쓰게
이산해 / 李山海 [종교·철학/유학]
1539(중종 34)∼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문신. 장윤의 증손, 할아버지는 치, 아버지는 지번, 어머니는 남수의 딸이다. 1561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정자, 부수찬, 병조좌랑, 사헌부집의,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아계집≫이 있다
이산휘 / 李山輝 [종교·철학/유학]
1644년(인조 22)∼1698년(숙종 24).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이여 후손, 증조는 이욱, 조부는 이후원이다. 부친 이주와 모친 이시방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홍처후의 딸이다. 돈령부참봉, 예산현감, 장악원주부, 통천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슬하에 4남
이삼석 / 李三碩 [종교·철학/유학]
1656(효종 7)∼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정 증손, 할아버지는 세헌, 아버지는 창, 어머니는 이빈의 딸이다. 1680년(숙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경상좌도 암행어사, 장령, 지평, 승지,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삼현 / 李參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7∼?). 진흥 증손, 할아버지는 종호, 아버지는 재익, 어머니는 유한철의 딸이다. 1862년 진주에서 민란이 일어났을 때 경상도선무사가 되어 영남 지방의 민심을 수습하였으며, 1864년(고종 1) 함흥부안핵사가 되어 흉흉한 북방의 민심을 무마
이상 / 李翔 [종교·철학/유학]
1620(광해군 12)∼1690(숙종 16).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유겸이다. 송시열을 통하여 김집의 학통을 이어받았다. 1658년(효종 9)박세채·윤증과 함께 유일로 천거되어 자의에 임명된 뒤, 산림직 진선을 역임하였으며, 1661년(현종 2) 이후 지평을 비
이상수 / 李象秀 [종교·철학/유학]
1820년(순조 20)∼1882년(고종 19). 조선 말기의 학자. 연주의 아들, 어머니는 윤씨이다. 한원진의 학통을 이은 호론에 속하였다. 동문으로 민상호·성기운·서응순 등이 있고, 임헌회와도 교우, 또한 윤정현·신헌과 같은 노론인사들과도 친숙하였다. 1855년(철
이상언 / 李尙彦 [종교·철학/유학]
1597(선조 30)∼1666(현종 7).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휘음, 어머니는 안동권씨이다. 1648년 다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이듬해 사간원정언을 시작으로 성균관사예·사헌부장령·병조정랑, 정선군수, 영광군수, 안악군수·성균관전적을 역임하였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