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이보 / 李俌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1656(효종 7). 조선 중기의 종실. 할아버지는 선조이다. 유효립의 딸과 결혼하였다. 11세 때 큰아버지인 의안군 성에게 입양, 능원군으로 봉하여졌다. 1626년(인조 4)에 계운궁 구씨가 죽자, 주상으로 일을 맡았다. 1632년에 능원대군으로
이보문 / 李普文 [종교·철학/유학]
1715년(숙종 41)∼1740년(영조 16). 조선 후기 유학자. 이사경 후손, 고조는 이후연, 증조는 이정악, 조부는 이세백이다. 부친 이의현과 모친 송하석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신사철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잔병이 많더니 요절하였다. 슬하에 후손이 없다
이보천 / 李普天 [종교·철학/유학]
1737년(영조 13)∼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교악, 조부는 이세준이다. 부친 이의로와 모친 조화벽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71년(영조 47)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75년(영조 51) 정조가 세손으로서 연로한 영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을
이보혁 / 李普赫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4∼1762). 1728년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우방장으로 영남에서 기병한 정희량의 난을 토벌한 공으로 분무공신 3등이 됐으며 인평군에 봉하여졌다. 1733년에 동의금·호조참판을 거쳐, 병조참판을 역임했다. 1738년 공홍도관찰사로 재직 중
이보흠 / 李甫欽 [종교·철학/유학]
?∼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현보이다. 1429년(세종 11) 식년 문과에 병과 급제한 뒤, 집현전박사, 성균주부, 지함양군사, 직예문관 등을 역임하였다. 충청도 청안의 향사, 광주의 대치사, 순흥의 성인단, 영천의 송곡서원에 제향되었다.
이복 / 李馥 [종교·철학/유학]
1626년(인조 4) 6월 3일∼1688년(숙종 14) 4월 8일.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찬귀, 조부는 이윤무이다. 부친 이상규와 모친 황하징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1651년(효종 2) 식년시 생원 2등 8위로 합격, 1654년(효종 5) 식년시 갑과 2위로
이봉 / 李封 [종교·철학/유학]
1441(세종 23)∼1493(성종 24). 조선 전기의 문신. 색 증손, 할아버지는 종선, 아버지는 계전, 어머니는 진호의 딸이다. 좌찬성 파의 아우이다. 1465년(세조 11)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세조의 총애를 받았다. 이듬해 문과중시에 합격하고 1467년 우승
이봉서 / 李鳳瑞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 유생. 이반계의 후손이다. 일찌기 도암 이재에게서 가르침을 받은 학덕을 겸비한 선비였다. 병석에 있던 아버지가 자라가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엄동설한인지라 낚시를 드리울 곳이 없다’하며, 강가에 나와 통곡하였다. 1699년(숙종 25) 호남
이봉징 / 李鳳徵 [종교·철학/유학]
1640(인조 18)∼1705(숙종 31). 조선 후기의 문신. 주 증손, 할아버지는 창정, 아버지는 완, 어머니는 이원량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생원, 이 해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수찬, 사인·부제학, 개성유수, 전라도관찰사, 대사헌, 형조참판을
이봉환 / 李鳳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0). 영의정 홍봉한의 천거를 받아 관직에 나아가 양지현감에 이르렀다. 문장으로 세상에 드날렸다. 1770년(영조 46) 경인옥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던 중 옥사하였으며, 시문집으로《우념재시고》1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