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총 69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불완전동사 / 不完全動詞 [언어/언어/문자]
활용상의 제약을 받아 몇 개의 국한된 활용형만을 가지고 있을 뿐, 대부분의 활용형이 나타나지 않는 비생산적인 동사. 불완전동사의 특징 및 이들 어간이 활용어미와 가지는 통합관계에서의 특징을 들면 다음과 같다. ① 형용사에는 없고 동사에만 한정되어 있다. ② 시제(時制)
불정심경언해 / 佛頂心經諺解 [언어/언어/문자]
1485년(성종 16)에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陀羅尼經)』·『불정심료병구산법(佛頂心療病救産法)』·『불정심구난신험경(佛頂心救難神驗經)』을 언해한 책. 3권 1책. 이 책은 보통 『불정심다라니경언해(佛頂心陀羅尼經諺解)』·『관음경언해(觀音經諺解)』라고도 불린다. 인수대비(
불청불탁음 / 不淸不濁音 [언어/언어/문자]
유기(有氣)·무기(無氣), 유성(有聲)·무성(無聲) 등에 의한 조음방법으로 나눈 두자음(頭子音)의 분류 중 하나.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초성 체계는 중국의 음운학에 기초를 둔 것이다. 해례본『훈민정음』초성해(初聲解)에서 “정음의 첫소리는 곧 운서의 ‘자모
비교법 / 比較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의 크기, 성질, 모습, 내용 등의 정도를 견주어서 어느 한 사물을 선명히 표현하는 기법이다. “강낭콩꽃보다 더 푸른 물결”에서는 ‘물결’의 푸른 색채를 ‘강낭콩꽃’의 그것에 견주어서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하늘이 높
비유법 / 比喩法 [언어/언어/문자]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비유하여 표현하는 수사법. 유추(類推, analogy)를 기본으로 삼아 이해하려고 하는 미지의 언어를 이미 알고 있는 언어로 이동시키거나 변화시키는 표현기법이다. 이 때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사상을 원관념(tenor)이라 하고,
비음 / 鼻音 [언어/언어/문자]
조음방식에 따라 분류한 언어음의 일종으로, 연구개(軟口蓋)를 낮춤으로써 공기가 코로 나가게 하면서 내는 언어음. 국어의 대표적인 비음은 ‘ㅁ, ㄴ, ㆁ’이다. ‘ㅁ’은 양순음이고 ‘ㄴ’은 치경음이며 ‘ㆁ’은 연구개음이다. 이들 비음에 인접한 모음도 비음의 영향을 받아
사과지남 / 辭課指南 [언어/언어/문자]
1894년 캐나다 선교사 게일(James S. Gale)이 편찬한 한국어 문법서. 본래 서명은『과지남(辭課指南)』이다.『사과지남』은 당시의 다른 한국어 문법서와 달리 문법 형태만을 대상으로 기술하고 있다. 게일(James S. Gale)은 1888년에 캐나다 토론토
사류박해 / 事類博解 [언어/언어/문자]
심노순(沈老淳)의 외할아버지 이공(李公)이 후학들을 인도하기 위하여 편찬한 유서(類書). 2권 1책. 필사본. 1855년(철종 6)에 김병규(金炳圭)가 그 아들의 친구인 심노순에게서 빌어 베껴 쓴 것이 전한다. 『재물보(才物譜)』·『몽유편(蒙喩篇)』 등과 비슷한 어휘
사법어언해 / 四法語諺解 [언어/언어/문자]
법어 4편에 한글로 구결을 단 언해서. 4편의 법어는 환산정응선사시몽산법어(皖山正凝禪師示蒙山法語)·동산숭장주송자행각법어(東山崇藏主送子行脚法語)·몽산화상시중(蒙山和尙示衆)·고담화상법어(古潭和尙法語)이다. 권두에 ‘혜각존자역결(慧覺尊者譯訣)’이라 되어 있으므로 구결과 번역
사서율곡언해 / 四書栗谷諺解 [언어/언어/문자]
1576년(선조 9) 『대학(大學)』·『중용(中庸)』·『논어(論語)』·『맹자(孟子)』 등의 사서를 이이(李珥)가 선조의 명을 받아 언해한 책. 이 책의 토(吐)나 석(釋)은 관찬본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정확(精確)하여 관찬본에 끼친 영향이 컸으며, 특히 일원성(一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