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제도 > 법령과 제도 총 67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제도 > 법령과 제도
도기과 / 到記科 [정치·법제/법제·행정]
성균관 유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식년문과 초시에 해당하는 과거. 성균관 유생들 중 도기의 일정 점수에 도달한 자만을 선별하여 과거에 응시하게 했으므로 도기과라 하였다. 시험방법은 초시에서 삼경 가운데 하나를 스스로 택하고, 사서 가운데 둘을 추첨으로 택해 강경한 뒤,
도당 / 都堂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의 최고 정무기관. 도당은 고려 전기 변경의 군사문제를 논의하던 임시회의기관인 도병마사가 고종 말년 그 구성과 기능이 확대됨에 따라 나타나기 시작한 명칭이다. 1279년(충렬왕 5)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개편되면서 그 용어의 사용이 본격화되었다. 그리하여
도숙법 / 到宿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리들의 천전·승진의 인사기준이 되는 근무일수 산출 법제. 1년단위 차년법, 달을 기준으로 하는 개월법, 날짜를 기준으로 하는 도숙법 등이 있었다. 고려시대는 주로 차년법이 시행되었고, 공민왕 때 처음으로 도숙법이 같이 사용, 공양왕 때 개월법이 첨가되었다.
도시 / 都試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무사 선발을 위한 특별시험. 중앙에서는 병조와 훈련원의 당상관이 군사와 동반·서반의 종3품 이하관 또는 한량을, 지방에서는 각 도의 관찰사와 병마절도사가 중앙의 예에 의하되, 그 도의 수령·우후·만호 및 그들의 자제를 제외한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도원 / 道院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전도기구의 총칭. 의결기구인 의회, 행정기구인 교사와 더불어 3대 기구 중 하나이다. 대종교 규범 제4장에 의하면 삼일원과 그 밑에 수도원, 선도원, 자선원 등이 이에 속하여 있다. 도원의 궁극적인 목표는 <삼일신고>에 담긴 ‘한얼말씀’을 널리 펴서 모든 사람으
도전 / 渡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서울 주변 큰 강의 요로에 설치된 도진에 나누어 지급되어 있던 토지. 각 도진에는 지휘관원으로 도승(渡丞)과 뱃사공으로서의 진척(津尺)을 두고 각기 늠급위전(廩給位田)과 진척위전(津尺位田)을 절급하였다. 이 둘을 합칭한 것이 도전이다. 도진제도는 세종 때 다시
도제제도 / 徒弟制度 [사회/사회구조]
수공업적 기능의 후계자를 양성하는 제도. 우리나라의 전통사회에서도 동업조합과 도제제도가 존재하였으나, 유럽과는 사회적 조건이 달라서 그 운영 방법이나 후계자 확보 방법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우리나라의 도제제도는 대체로 가족과 결합된 성격을 지녔기 때문에, 가족 경
도지권 / 賭地權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17세기경부터 농민들이 농민적 토지소유를 성립시켜 나가면서 획득한 소작지에서의 부분소유권. 도지권 성립의 배경은 신분제도의 붕괴과정에서 소작농의 지위향상과 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한 지주와 소작인의 경제적 계약관계의 형성을 들 수 있다. 도지권은 전국 각지에
도첩제 / 度牒制 [정치·법제/법제·행정]
승려가 출가할 때 국가가 그 신분을 공인해 주던 제도. 도첩제는 고려 말기부터 제도화되어 조선 초기에 강화되었다. 조선시대의 도첩체는 억불숭유정책을 그 배경으로 자유로운 출가를 제한하고 불교를 국가적인 통치하에 예속시키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세조 때 개정된 도첩제의
도총섭 / 都摠攝 [정치·법제/법제·행정]
나라에서 내렸던 승려에 대한 직책 중 최고의 승직. 왕사 나옹이 선교도총섭의 직명을 가졌던 것으로 보아 고려 말에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직명이 널리 보편화된 것은 선조 때부터이다. 이 승직은 국가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었던 것으로 조정에서 직명을 내리는 것이 상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