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효녀 / 孝女 [사회/가족]
극진한 공경심과 헌신적 봉사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고 어버이의 뜻을 받드는 딸. 우리의 전통적 규범 속에서 효(孝)는 백 가지 행동과 만 가지 덕(德)의 근본이라 하여 가장 높은 덕목이었다. 공자(孔子)와 증삼(曾參)의 문답에서 효도에 관한 것들을 추려놓은 『효경』에
효녀지은설화 / 孝女知恩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라시대의 효녀 지은에 관한 설화. 효행설화의 하나로 『삼국사기』 권48과 『삼국유사』 권5 효선(孝善)편에 수록되어 있다. 지은은 연권(連權)의 딸인데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모시기 위하여 나이 32세가 되도록 출가를 하지 않았으나, 결국은 살림에 쪼들리게
효덕전홍릉제향시 각종거행문 / 孝德殿弘陵祭享時 各種擧行文 [정치·법제]
거행문. 고종의 혼전인 효덕전(孝德殿)과 능침인 홍릉(弘陵)에서 망제겸추석제(望祭兼秋夕祭)와 주다례를 거행할 때 제관 임명이나 축문, 제문을 지어올리는 일 등에 관한 시행 사항을 기록한 문서이다.
효력부위 / 効力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정9품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무산계는 정하여지지 않았다. 그런데 무산계는 1436년(세종 18) 처음으로 진무부위(振武副尉)를 설치하였다가 ≪경국대전≫에 이르러 효력부위로 개칭되었다. 정9품 관직
효부 / 孝婦 [사회/가족]
지극한 정성과 헌신적인 봉사로 시부모를 공경하고 몸가짐을 가지런히 하여 시부모의 뜻을 받드는 며느리. 우리의 전통적 가족에서는 부계로의 가계존속을 중히 여겨서 부자관계를 다른 가족들간의 관계보다 우위에 두며 ‘삼종지의(三從之義)’·‘부필종부(婦必從夫)’를 최고의 부덕(
효부전 / 孝婦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호랑이의 도움으로 잘 살게 된 효부에 관한 민간설화를 소재로 한 작품이나, 그 문학적 형상화는 미흡한 수준의 범작이다. 조동일(趙東一)이 소장하고 있다. 태조대왕 즉위 초년에, 충청도 옥천에 군자로 이름 있는 최만상이
효불효설화 / 孝不孝說話 [문학/구비문학]
일곱 아들이 홀로 된 어머니를 위하여 다리를 놓는다는 내용의 설화.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따르면, 효불효교는 경주부 동쪽 6리 되는 곳에 있는데, 신라 시대에 아들 일곱을 둔 홀어머니가 그 아들들이 잠든 틈에 남자를 만나러 다녔다. 그 아들들이 이 사실을 알고 서로
효빈가 / 效嚬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이현보(李賢輔)가 지은 시조. 작자의 문집인 『농암문집(聾巖文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오랫동안의 관직에서 은퇴하여 그의 향리인 예안(禮安)에 돌아가 집 옆에 명농당(明農堂)을 짓고 벽상에는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도’를 걸고 강호로 돌아가기를 도모
효성 / 曉星 [종교·철학/불교]
1910년(융희 4)∼1961년. 승려. 성은 신(申), 본명은 향심(香心)이다. 진주(晉州) 출신이다. 목사(牧使)의 딸로 유아 때 모친을 잃고 기생 윤씨(尹氏)의 양육을 받다가 윤씨가 대구에 사는 신씨(申氏)와 결혼하면서 신향심이라는 성명을 갖게 되었다. 1924년
효안전담제친제제문초 / 孝安殿禫祭親祭祭文草 [역사/조선시대사]
제문초. 1807년(순조 7) 3월 6일에 순조가 효안전(孝安殿)에서 친히 정순왕후의 담제(禫祭)를 지낼 때 썼던 제문이다. 담제의 날짜는 ≪순조실록≫과 ≪승정원일기≫ 순조 7년 3월 6일의 기사를 근거하여 추정하였다. 이 제문은 순조가 직접 지었으며, "裳"자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