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총 69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보조사 / 補助詞 [언어/언어/문자]
조사의 한 부류. 체언이 어떤 문장성분으로 쓰이는가에 상관 없이, 그 체언에 어떤 뜻을 첨가하여 주는 조사의 한 종류이다. 조사는 자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해 주거나 또는 나름대로의 어떤 뜻을 더해주는 기능을 하는 하나의 품사로, 문법
보조어간 / 補助語幹 [언어/언어/문자]
본디의 어간(語幹)에 덧붙어서 그것을 돕는 어간. 보조어간의 갈래로는 하임[使動]의 ‘-이-, -히-, -기-, -리-, -우-, -구-, -추-’, 입음[被動]의 ‘-이-, -히-, -기-, -리-’, 낮춤[謙卑]의 ‘-옵-, -읍-, -습-, -오-, -ㅂ-, -자
보조용언 / 補助用言 [언어/언어/문자]
본용언을 보조하는 용언. 통사론의 입장에서 보아 용언은 곧 서술어이므로 보조용언은 바로 보조서술어가 된다. 품사론의 입장에서 보조용언은 보조동사나 보조형용사로 나뉘게 된다. 보조용언은 문구조(文構造)를 지배하는 필수적인 성분이 아니라 서술어에 첨가되어 쓰이는 의존적인
보충법 / 補充法 [언어/언어/문자]
어형의 규칙적인 변화틀에 어긋나고 어원적으도로 관련없는 형태의 문법적 교체. 보충법이란 어형의 규칙적인 변화틀에 어긋나고 어원적으로도 관련이 없는 형태로써 체계의 빈칸을 채우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불규칙성은 체언과 용언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체언의 보충법으로
보통명사 / 普通名詞 [언어/언어/문자]
명사의 한 종류. 명사를 쓰이는 범위에 따라, 단일한 사물에 대해서 적용되는 부류와 여러 사물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두 가지 부류로 나눌때, 앞의 것을 고유명사라 하고 뒤의 것을 보통명사라고 한다. ‘사람·책·학생·가족(家族)·국민·물·불·평화·이상(理想)’ 등은 단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 [언어/언어/문자]
보통학교에서 사용할 교과서 편찬을 위하여 일제가 제정하고 공표한 한글맞춤법. 경술국치 뒤에 우리 나라의 보통학교에서 사용할 교과서를 편찬하기 위하여 조선총독부 학무국에서 위원을 선정하고, 1911년 7월부터 11월까지 5회의 회의를 거쳐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 /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 [언어/언어/문자]
1921년에 조선총독부가 개정한 한글 맞춤법.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한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이후에 이 맞춤법에 대한 개정 논의가 일어나서, 학무국에서 다시 위촉한 위원들의 토의를 거쳐 1921년 3월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를 공
복문 / 複文 [언어/언어/문자]
한 문장 속에 다른 문장이 종속되어 있거나 포유(包有)되어 있는 문장.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 즉 주술관계(主述關係)가 한 번만 이루어지는 단문(單文)이 확대되는 방식은, ① 서로 대등한 단문들끼리 연결되는 방식, ② 하나의 문장이 다른 문장에 대해 종속적으로 연결되는
복합어 / 複合語 [언어/언어/문자]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는 둘 이상의 실질형태소가 결합된 것이며, 파생어는 실질형태소에 형식형태소가 결합된 것이다. 복합어와 합성어에 대한 이러한 술어사용의 구분은 문법학자간의 일치를 보여주지 않는다. 어떤 경우는 위와 정반대로 합성어를 상위개념으
부동사 / 副動詞 [언어/언어/문자]
부사형 어미 혹은 연결어미를 가지는 용언의 활용형. 국어 문법에 부동사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이는 알타이 언어학자 람스테트(Ramstedt,G.J.)이다. 그는 알타이어학의 전통에 따라 국어의 용언을 그 어미활용에 의하여 정동사·부동사·동명사의 셋으로 크게 나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