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한정기임명문서 / 韓鼎基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1월 11일. 6품 승훈랑 한정기(韓鼎基)를 순창원 참봉 판임관 8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순창원은 조선 13대왕 명종의 장자인 순회세자와 세자빈 공회빈 윤씨의 합장묘이다. 원래는 순회묘였으나, 그 뒤 순회원으로 이름을 변경, 1870년(고종 7)
한정당집 / 閒靜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송문흠의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1788년(정조 12) 사위 김광묵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조카 시연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64수, 권2∼4에 서 88편, 권5∼7에 잡저 32편, 서 4편, 기 7편, 발 2편, 명 13편, 찬 2편, 송
한정록 / 閑情錄 [언론·출판]
저자 허균(1569-1618). 필사본. 책 구성은 1책 65장이다. <한정록>은 모두 20권으로 16개의 편과 부록 4편으로 구성되었다. 본집 16권은 주제에 따른 분류로 은둔, 고일, 한적, 퇴휴, 유흥, 아치, 숭검, 임탄, 광회, 유사, 명훈, 정업, 현상,
한정어 / 限定語 [언어/언어/문자]
부사(副詞)와 같은 일을 하는, 즉 용언이나 부사 앞에서 이들을 꾸며 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문장성분. 체언을 꾸며 주는 일을 담당하는 수식어(修飾語)와 짝이 되는 문장성분으로서 주어·서술어 및 목적어 등을 문장의 근간성분(根幹成分), 또는 주성분이라 한다면 한정어는 수
한조삼성기봉 / 漢朝三姓奇逢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4권 14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은 불교적인 윤회보응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종교소설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즉, 불교의 인과사상과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한나라 광무제 때의 인물을 당나라 현종 때의 인물로 윤회전
한조언어문자관계사 / 漢朝語言文字關係史 [언어/언어/문자]
중국 조선어 어학자 이득춘(李得春)이 지은 조선어와 한어의 언어문자 관계사 연구서. 『한조언어문자관계사』는 조선어와 한어의 관계에 대해 한자의 유입과 사용, 조선 문자의 창제와 한자, 역대 조선의 한어 연구, 조선에서의 한어 번역 등 4개 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중국
한족항일동지회 / 韓族抗日同志會 [역사/근대사]
1937년 중국 바오터우(包頭)에 설립되었던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단체. 일제가 중국침략을 가속화함에 따라 개인의 생존과 조국의 광복, 그들의 주거지인 화북지방을 위하여 동포의 역량을 집중, 단결하고, 항일 우군을 국제적으로 연합, 확대시키고자 최백지, 김득수, 황대,
한종순 / 韓鍾淳 [역사/근대사]
1893-193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남도 함안(咸安)이다. 1919년 강기수(姜琪秀)·박건병(朴建秉)·이찬영(李讚榮)·조병흠(趙丙欽)·조한휘(趙漢輝)·한관열(韓灌烈) 등과 함께 고종 황제 국장(國葬)에 참여하였다가 서울에서 시행된 독립선언식을 목격
한좌시집 / 漢左詩集 [생활]
성책고문서(成冊古文書) 작성연대 미상. 작성자 미상이다. 크기는 28.9 × 18.3cm이다. 내용은 7언 율시, 혹은 고시(古詩)가 수록되어 있다. 종이를 오려내고 수정한 흔적이 있으며, 간혹 본문에 빗점을 찍어 놓았다.
한주교 / 韓柱敎 [역사/근대사]
1907년(융희 1)∼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본적은 함경남도 정평군 광덕면이다.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흥남공장에서 노동자 생활을 하며, 흥남공장 노동정세를 조사하고 연구회를 결성하여 좌익운동 이론 연구에 힘썼다. 이후 연구회를 개편하여 좌익노동조합결성준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