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개옹문집 / 㝏翁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장봉한의 시·서(書)·제문·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후손 용환(龍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만운(李萬運)의 서문과 권말에 이원조(李源祚)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48수, 권2에 서(書
개은유고 / 介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정재기의 시·가·서(序)·상량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6권 2책, 별록(別錄) 1책, 도합 6권 3책. 목활자본. 권말에는 정태현(鄭泰鉉)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가(歌)·사(辭)·시, 권2는 서(書), 권3은 서(序)·기·발·명·찬
개토제 / 開土祭 [종교·철학/민간신앙]
집터를 닦거나 묘자리를 팔 때 그 토지의 수호신인 산신이나 토지신에게 지내는 건축의례. 땅을 다루고자 할 때 먼저 그 주인이 되는 수호신의 허가를 받고자 예를 올리는 것으로 유교제례에서 의례화된 것으로 보인다.『사례편람 四禮便覽』의 상례조에서는 묘의 영역(瑩域) 공사를
개호유고 / 開湖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김시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6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66년 후손들에 의해 편집, 간행된 듯하다. 권두에 10대손인 병문(秉文)의 서문과 권말에 10대손인 화식(和植)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갱정유도 / 更定儒道 [종교·철학/신종교]
강대성(姜大成)이 1945년 창립한 신종교. 강대성은 1951년 본부를 전라북도 김제군 광활면 학당리로 정하고 체제를 정비하였다. 1957년에는 김갑조(金甲祖)가 법통을 이어 2대 교주가 되어 본부를 남원군 남원읍 도통리로 옮겼다. 경전은 <부응경(符應經)>이다.
거사시문 / 居士詩文 [종교·철학/유학]
원천 홍우건의 문집. 7권 4책. 필사본. 홍우건이 자신의 저술을 연도별로 정리해놓은 것을 후대에 정리한 시문집이다. 필사본이며 7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행년도는 미상이다. 권별로 1831년부터 1837년까지 총 7년간의 저술이 각각 수록되어 있으며, 문집의
거암유고 / 蘧庵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송인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활자본. 1938년 송태섭(宋台燮)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준필(宋浚弼)의 서문과 권말에 송종술(宋種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220수, 권2·3
거업록요어 / 居業錄要語 [종교·철학/유학]
명나라 학자 장길이 호거인의 『거업록』을 요약하여 1507년에 간행한 유학서. 『거록업요어(居業錄要語)』는 권말에 수록된 양정용(楊廷用)이 지은 「거업록발(居業錄跋)」(1519년)에 의하면, 1507년에 장길이 간행하여 영남지방에 주로 보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
거향잡의 / 居鄕雜儀 [종교·철학/유학]
김성일이『여씨향약』과 향교·마을에서 행하는 예를 모아 만든 책. 불분권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1910년 후손 김도연 등이 편집하여『동자례』와 합간하였다. 김도화·이중곤의 서문과 김발·김종하·김휘철·박승진의 발문이 있다. 배항지등·상견지례·왕환지수·존
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 / 乾鳳寺及乾鳳寺末寺事蹟 [종교·철학/불교]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승려 한용운이 건봉사와 부속말사에 관한 자료를 수록하여 1928년에 간행한 사적기. 『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乾鳳寺及乾鳳寺末寺事蹟)』은 1878년(고종 15)의 건봉사 화재로 인해서 사찰 자료가 소실되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사적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