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한봉근 / 韓鳳根 [역사/근대사]
1896년∼미상. 독립운동가. 호는 금산(錦山). 경상남도 밀양 출신. 정권이 일본에게 침탈당하고 일제의 무단정치가 극악해짐에 따라 만주의 길림성(吉林省)으로 망명하여 김원봉(金元鳳)·황상규(黃尙奎)·이종암(李鍾岩) 등을 만나 독립운동에 헌신할 것을 결의, 의열단(義烈
한봉석 / 韓鳳錫 [역사/근대사]
1893-1942. 독립운동가. 경기도 김포 출신. 1919년 조선총독부의 토목기사로 근무하고 있던 중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였으며, 그뒤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군에서 활동하였다. 1921년에 군자금모금의 사명을 띠고 귀국하여 활동하다가 일본경찰에 붙잡혀 대구복심
한봉수 / 韓鳳洙 [역사/근대사]
1872-1970. 한말의 의병장. 일명 봉서(鳳瑞)·봉용(鳳用)·봉룡(鳳龍). 충청북도 청주 출신. 1907년 8월 의병장 김규환(金奎煥)을 만나 감화를 받은 것이 계기가 되어 의병에 가담하게 되었다. 청주 세교장(細橋場)에서 기의하여 4년 6개월 동안 33전 1패
한봉인 / 韓鳳仁 [역사/근대사]
1898년∼1968. 독립운동가. 경상남도 밀양 출생. 1919년 만주 길림성(吉林省) 길림(吉林)에서 김원봉(金元鳳)·이성우(李成宇)·서상락(徐相洛)·한봉근(韓鳳根) 등과 함께 의열단(義烈團)을 조직, 독립운동을 위하여 무력으로 투쟁할 것을 모의하고 군자금을 조달하기
한부 / 漢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나무로 만든 궁궐 출입증. 작은 목재 표찰로서 여자들이 사용하는 것이었다. 주로 하급 궁녀·관비들이 궐문을 출입할 때 패용하였다. 남자들이 사용하는 것은 신부(信符)라 하였다. 한부는 매년 연말 병조 무비사에서 제작되어 궐내 각처에 배부되었는데, 해마다 사용
한불자전 / 韓佛辭典 [언어/언어/문자]
1880년 파리외방선교회 한국선교단에서 편찬한 한불대역사전(韓佛對譯辭典). ≪한불자전≫은 병인교난(1866) 때 우리 나라를 탈출한 리델(Felix-Clair Ridel)주교가 서울출신의 독실한 신도 최지혁(崔智爀)의 도움을 받아 만주 짜코우(岔溝)에서 편찬한 것인데
한빛원자력발전소 / ─原子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계마리 서해안에 있는 가압경수로형(加壓輕水爐型) 원자력발전소. 이 발전소에는 영광원자력 1·2·3·4·5·6호기가 가동 중이다. 영광1·2호기는 설비용량이 각각 95만㎾이며, 3·4호기와 5·6호기는 각각 100만㎾급 원전으로 총 6기 590만㎾
한사직 / 韓師直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5∼1778). 1754년 급제하여 60세의 나이로 보덕이 되었고, 이어 지평·정언·헌납·장령을 지냈다. 강릉부사 재직 중 1756년 대기근이 들자 진휼에 힘썼다. 이후 대사관, 대사헌, 한성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80세에 기로소에 들어갔다.
한산도가 / 閑山島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이순신(李舜臣)이 지은 시조. 1수. 진본(珍本) 『청구영언(靑丘永言)』을 비롯한 22종의 가집에 실려 있고,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도 기록되어 있다. 이 시조의 한역가는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권1 및 『충무공가승(忠武公家乘)』에 전한다.
한산두 / 韓山斗 [종교·철학/유학]
1556년(명종 11)∼1627년(인조 5). 조선 중기 유생‧의병. 한서봉 후손, 고조는 한태, 증조는 한영년, 조부는 한필이다. 부친 한일취와 모친 진황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윤복의 딸이다. 교유한 인물로 이개립‧전이성 등이 있다. 아들로 한원진‧한형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