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이광수 / 李光洙 [문학/현대문학]
항일기의 소설가·평론가·언론인(1892-?). 1910년 메이지학원 보통부 중학 5학년을 졸업하고, 귀국하여 정주 오산학교 교원이 되었다. 1915년 김성수의 후원으로 와세다대학에 유학하였다. 1940년 일제의 요구에 따라 창씨개명을 수락했고, 1943년 이후로 학병
이기영 / 李箕永 [문학/현대문학]
1895년(고종 32)∼1984년. 일제강점기 소설가. 호는 민촌(民村), 충청남도 아산 출신이다. 1924년 『개벽』 창간 4주년기념 현상작품모집에 단편소설 「오빠의 비밀편지」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카프(KAPF)에 가맹하였고, 월북 전의 작품으로는 1933년
이달 / 李達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손곡집』을 저술한 시인. 이수함(李秀咸)의 서자이다. 이달의 제자 허균(許筠)이 이달의 전기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으면서 “손곡산인 이달의 자는 익지이니, 쌍매당이첨(李詹)의 후손이다.”라고 기록하였다. 이것을 근거로 이달을 이첨의 후손으로 보아
이달충 / 李達衷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제정집』을 저술한 유학자.문신. 증조는 문하평리(門下評理)이핵(李翮), 할아버지는 밀직부사 이세기(李世基), 아버지는 첨의참리(僉議參理) 이천(李蒨), 어머니는 연창군부인박씨(延昌郡夫人朴氏)이다. 1326년(충숙왕 13)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좨주
이담속찬 / 耳談續纂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명나라의『이담』에 우리나라의 속담을 증보하여 1820년에 저술한 속담집. 1권 1책. 목판본. 목판본. 명나라의 왕동궤(王同軌)가 엮은 『이담(耳談)』에 우리 나라 고유의 속담을 증보하였다. 표지 서명은 ‘야언(埜言)’이다. 1936년신조선사(
이담지 / 李湛之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죽림고회(竹林高會) 7인중 한 사람인 문인. 좌사(左思) 이중약(李仲若)의 내손(內孫)이다. 가계 및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무인란 이후 임춘(林椿)과 마찬가지로 개경을 벗어나 유락객(流落客)이 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중앙에 기반을 둔 귀
이대봉전 / 李大鳳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목판본·활자본.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창작 군담소설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특히 정혼자인 애봉의 활동이 더욱 두드러진다. 애봉은 정식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고, 외적이 난을 일으켰을 때, 대원수로 출전하여
이두충렬록 / 李杜忠烈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상하 2책. 국문활자본. 1914년에 간행된 문익서관본(文益書館本)이 전한다. 남자주인공 이태원과 여자주인공 두성완의 고난과 충절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여성들의 활약상이 남성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돋보인다. 남자주인공
이등상강록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 낙질본. 이 작품은 앞부분이 전하지 않아 전체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남아 있는 부분만으로도 여러 면에서 「구운몽」과 비교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 나타나는 유사점을 들어보면 불교적 색채가 짙다는 것, 한 남자와 여러 여자
이린전 / 李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활자본. 필사본. 1916년동창서옥(東昌書屋)에서 발행한 활자본이 있다. 이 작품은 주인공 이린이 중국에 들어가 절세미인 두소저(杜小姐)를 얻고 과거에 급제하여 승상에까지 오른다는 내용이다. 이 소설은 우리나라 사람이 중국에 들어가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