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의유당관북유람일기 / 意幽堂關北遊覽日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수필집. 단권. 필사본. 이 작품은 조선조 여인의 글로는 매우 개성적이고도 우수한 작품이다. 소재가 특이할 뿐 아니라, 사물을 관찰하는 격조 높은 안목과 탁월한 표현력은 지은이의 문학적 역량이 어떠한가를 보여준다. 이병기는 「동명일기」를, “그 신묘

  • 의인소설 / 擬人小說 [문학/고전산문]

    무생물이나 동식물, 추상적 개념과 같은 대상을 의인한 소설. 의인이란 비인격적인 사상(事象)이나 동식물 등에 형태적 또는 심리적으로 인격을 부여하는 수법을 말한다. 이러한 의인 수법이 소설구조를 관통하면서 나타날 경우 이를 의인소설이라 한다. 한국 의인소설의 역사적인

  • 의전기술 / 宜田記述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육용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7책. 신활자본. 『의전기술』은 1912년 아들 종윤(鍾允)과 손자 정수(定洙)가 간행하였다. 『의전기술』 3책, 『의전문고』 2책, 『의전시고』 1책, 『의전속고』 1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이건승 / 李建昇 [문학/한문학]

    일제강점기 『해경당수초』를 저술한 유학자.양명학자. 영재(寧齋)이건창(李建昌)의 아우이며 난곡(蘭谷)이건방(李建芳)의 재종형이다. 하곡(霞谷)정제두(鄭齊斗)에서 연원하는 강화학파(江華學派)의 학맥을 이어서 양명학(陽明學)의 사상을 지녔다. 매천(梅泉)황현(黃玹)과 깊

  • 이건창묘 / 李建昌墓 [문학/한문학]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건평리에 있는 이건창의 묘.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9호. 묘는 단분(單墳)이며 특별한 장식이 없다. 전주이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1995년 인천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이견대가 / 利見臺歌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사(原詞)는 전하지 않으며, 제목과 전하는 이야기와 평(評)이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삼국속악(三國俗樂) 신라조에 전하고, 그 내용이 축약되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고려사』에 실린 제

  • 이계룡전 / 李季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주인공 이계룡 부자의 지극한 효성과, 이계룡 모친의 시아버지에 대한 효성, 남편에 대한 정성을 표현한 윤리소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후반에서는 주인공 이계룡이 산적을 토벌하고 위기에 놓여 있는 황제를 구

  • 이계집 / 尼溪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박래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3년에 간행한 시문집. 12권 5책. 목활자본. 1893년(고종 30) 후손 치복(致馥)과 외손 김진호(金鎭祜)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이계집』 권두에 남헌구(南獻求)와 치복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김진호의 발문이

  • 이공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주화관장신(呪花管掌神)의 신화인 동시에 그 신화를 노래하고 기원하는 제차(祭次). 큰굿 때에 초공맞이 다음의 제차에서 구연되고, 불도맞이 때에도 불린다. 제주도 무속에서는 서천 서역 땅에 인간 생명의 근원이 되는 환생꽃, 재난과 멸망의 근원

  • 이광려 / 李匡呂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이참봉집』을 저술한 유학자.실학자. 아버지는 이진수(李眞洙)이다. 그는 인품도 훌륭했고 해박한 지식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또 문장이 뛰어나 따르는 제자가 많았고, 사림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이광려의 문장에 대해서 이만수(李晩秀)는 “국조(國朝) 300년의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