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학사 / 學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중추원에 소속된 종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중추원이 처음 설치된 것은 991년(성종 10)이었지만, 그 관제가 정비된 것은 문종 때였는데, 이 때에 정3품 직학사(直學士) 1인을 둔 것이 학사의 효시이다. 1392년 조선 건국 직후 그 직급이 종2품으

  • 학산초담 / 鶴山樵談 [문학/한문학]

    1593년 문신·문인 허균이 당대의 시를 공시적인 관점에서 평가한 평론집.시평집. 1책. 필사본. 『패림 稗林』 제6집에 수록되어 있다. 허균의 후기에 의하면, 그가 임진왜란을 피하여 강릉에 머무르던 25세 때에 『학산초담』을 썼다. 이 책은 조윤제(趙潤濟) 소장의 『

  • 학산한언 / 鶴山閑言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숙종 연간에 신돈복이 견문한 이야기들을 모아 엮은 야담집. 『야승(野乘)』 제21책에 실려있다. 편자에 대하여는 내표제(內表題) 하단에 ‘신돈복저(辛敦複著)’라 명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해주는 기록들이 본문 중에도 보인다. 총 100편의 이야기가

  • 학삼서원 / 學三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창지리에 있는 서원. 1592년(선조 2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대임(李大任)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 학생극 / 學生劇 [예술·체육/연극]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문화운동의 일환으로 전개하는 연극. 상업극과는 달리 비영리적이고 실험성이 강한 문화운동이다. 학생연극운동은 2·8독립선언 다음해인 1920년 봄부터 출발하였다. 1920년 초부터 시작된 대학극은 70여 년의 전통을 가지고 처음으로 이 땅에 서구적

  • 학생운동 / 學生運動 [사회/사회구조]

    대학 및 정치․사회 개혁을 목표로 하는 학생주도의 집단적․조직적․지속적인 사회운동. 학생운동은 특정 정치적 격변기에 사회 모든 구성원의 요구가 정치사회 민주화로 집약되어 나타나는 상황에서, 이들의 목소리를 집약 혹은 대표하여 시위, 농성과 같은 공식화된 정치과정으로 외

  • 학생전위동맹사건 / 學生戰衛同盟事件 [역사/근대사]

    1929년 광주학생들의 항일운동 이후, 학생전위동맹을 중심으로 서울 시내 각 학교의 격문사건과 맹휴시위운동을 벌인 사건. 학생전위동맹은 1926년 조국 광복을 목적으로 조직된 학생혁명당의 후신으로 1929년 3월 하순에 개칭된 비밀결사이다. 학생전위동맹은 검거당한 학생

  • 학송집 / 鶴松集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전유형(全有亨) 저, 목판본, 1713년(숙종 39), 분권 1책(72장). 표제는 학송일기(鶴松日記)이다. 증손 전이근(全爾根), 학송 전유형(全有亨)의 유고집이다. 일기 일부와 계(啓), 상소(上疏) 등의 글이 실려 있다.

  • 학암집 / 鶴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조문명의 시문집. 8권 6책. 필사본. 권두에 정조의 어제서문이 실려 있으나, 그밖에 자세한 간행경위는 알 수 없다. 권1·2는 시 506수, 권3∼5는 소차 73편, 계 13편, 의 15편, 권6은 응제문 4편, 서 4편, 기 3편, 발 6편, 잡저

  • 학암집 / 鶴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최신의 시문집. 6권 3책. 신연활자본. 1884년(고종 21) 9대손 최병진이 편집간행하였다. 송근수의 서문, 권돈인의 구서, 권말에 홍직필의 구발과 심순택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3수, 소 3편, 공사 1편, 서 28편, 권2∼5에 송시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