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학령 / 學令 [교육/교육]

    조선시대의 성균관·사학·종학·향교 등의 학교에서 학생들의 활동과 수업내용, 처벌 규정을 정한 학칙. 현재 성균관의 학령으로는 영조 때 편찬된 ≪동국문헌비고≫, 1785년(정조 9) 왕명으로 편찬된 ≪태학지≫에 실려 있다. 조선시대의 학령은 대체로 성리학적인 예절교육과

  • 학령서원 / 鶴翎書院 [교육/교육]

    평안남도 성천군 성천면 하부리 용천동에 있었던 서원. 1607년(선조 40)에 정구(鄭逑)·조호익(曺好益)·박대덕(朴大德)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현종 1) ‘학령(鶴翎)’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 학림서원 / 鶴林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 학림리에 있었던 서원. 643년(인조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희중(朴熙中)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위남영당(葦南影堂)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8년(숙종 44)에 영당이 서원으로 승격되어 ‘학림(鶴林)’이라고 칭하게 되었으며,

  • 학림속집 / 鶴林續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권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이 책은 권재중(權在中)이 편집하고 권태동(權泰東)이 주관하여 1931년 예천(醴泉)에서 간행하였다. 원래 1844년(헌종 10) 문집 12권이 간행되었으나 시속에 저촉되는 바가

  • 학무 / 鶴舞 [예술·체육/무용]

    조선 전기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악학궤범』 권5의 무보(舞譜)에 의하면, 연못을 상징하여 꾸민 지당판(池塘板)을 만들어 그 주위에 연꽃과 잎사귀를 꽂고, 꽃병 7개에는 모란꽃을 꽂아 돌려놓고, 전면에 칠보등롱(七寶燈籠)을 달아놓는다.앞쪽 좌우에는 큰

  • 학무아문 / 學務衙門 [역사/근대사]

    구한말 교육행정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학무아문은 구제도 아래서의 예조의 업무 일부와 관상감, 육영공원, 사역원의 업무를 포함하여 국내의 교육과 학무행정을 관리하는 부서로 설치되었는데, 1895년 4월 1일 별도의 학부관제를 칙령 제46호로 공포하고 학부(學部)로 개칭하

  • 학벌주의 / 學閥主義 [사회/사회구조]

    학벌을 중요하게 여기는 입장이나 태도. 또는 개인의 능력과 상관없이 어느 학교 출신이냐에 따라 차별을 받는 사회현상. 학벌주의는 초등, 중등 그리고 고등교육을 받은 기간(years of schooling)을 의미하는 수직적 차원의 ‘학력주의’(學力主義)와 구별된다. 즉

  • 학병거부운동 / 學兵拒否運動 [역사/근대사]

    1943년 일제에 의해 자행된 강제 징병에 저항한 학도지원병 거부 운동. 학도지원병제는 표면으로는 자의에 의한 지원이라 하였으나 총독부는 해당 학교에 대해 갖은 수법으로 독려하도록 강요하였다. 이에 조선인 학병 해당자들은 전쟁의 광기에 날뛰던 일제 당국에 대해 여러 형

  • 학부인서체자 / 學部印書體字 [언론·출판/출판]

    개항기 학부에서 사용한 인서체(印書體) 목활자. 학부에서 당시의 새로운 문물을 수용할 목적으로 교과서를 개편하고 1895년부터 찍어내는 데 사용한 활자이다. 학부가 교과서 인쇄에 사용한 이 활자를 학부인서체목활자 또는 학부목활자라 일컫고 있다.

  • 학부직원록 / 學部職員錄 [정치·법제]

    대한제국 때 학부 소속 직원 명단. 판상구에 '학부'라고 인쇄되었고, 주색 목판인찰공책지를 사용하여 필사하였다. 제1면 좌측 상단에 '장서각인'이 날인되어 있다. 주로 일본인으로 학부에 근무하거나 관립사범학교, 고등학교, 일어학교, 보통학교 교사 명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