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학강만필 / 鶴岡散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홍석주가 견문한 명인들의 시문·언행들을 중심으로 서술한 만록집. 6권 5책. 필사본. 저자가 만년에 정계에서 은퇴한 뒤에 노년을 보내면서 지난 날의 견문(見聞)이나 독서에서 얻은 견해들을 잡록형식으로 적은 글이다.『학강산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 학강산필 / 鶴岡散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홍석주가 견문한 명인들의 시문·언행들을 중심으로 서술한 만록집. 6권 5책. 필사본. 저자가 만년에 정계에서 은퇴한 뒤에 노년을 보내면서 지난 날의 견문(見聞)이나 독서에서 얻은 견해들을 잡록형식으로 적은 글이다.『학강산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 학고문집 / 鶴皐文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규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8년에 간행한 시문집. 1978년 이규헌의 후손 이종담(李鍾淡)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은(李鍾殷)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아들 이종수(李鍾秀)의 발문이 있다. 제1편에 시율(詩律) 785수, 제2편에 기(

  • 학고시집 / 鶴皐詩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주섭의 시 「방삼오칠」·「개성회고」·「선죽교」등을 수록하여 1941년에 간행한 시집. 2권 1책. 석인본. 이 책은 1941년 아들 승식(承植)과 손자 규상(珪相)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응선(尹膺善)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규상의 후지(後識

  • 학고집 / 鶴皐集 [종교·철학/유학]

    김리만의 문집. 11권 6책. 권일의 첫머리에는 총목차, 권육까지는 한시가 수록되었다. 권칠부터 권십일까지는 산문이 실려 있다. 서두의 총목차에는 각권의 시제목만 나열되어 있으나, 실제 본문을 보면 먼저 시의 체제를 분류한 다음 한시를 실어놓았는데 순서는 총목차와 같

  • 학교문법 / 學校文法 [언어/언어/문자]

    언어를 규범대로 바로 쓰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교육에서 가르치는 문법. 문법은 연구태도에 따라 문법현상을 사실대로 체계화하는 이론문법과 옳고 그른 가치판단으로 바르게 교화하는 실용문법으로 나누어진다. 실용문법은 연구용도에 따라 일정한 기준에서 바로잡기 위하여 지시하고 명

  • 학교체조교수서 / 學校體操敎授書 [예술·체육/체육]

    1910년 6월 학부에서 보통학교 및 고등 정도의 제학교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편찬한 체조 교재.체조지도서. 머리말에서 종래의 모든 학교에서 체조를 실시하였으나 병식체조(兵式體操)의 일부를 가르치는 데 그치며, 경성내 관립보통학교 교원의 체조강습회를 실시하였지만

  • 학궁촌 / 學宮村 [사회/촌락]

    향교의 재정·인력의 기반이 되던 마을. 향교는 통상 관아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읍내에 위치하였고, 학궁촌도 향교 주변의 몇 개 마을이었다. 학궁촌은 성균관의 반촌의 예에 따라서 관이 지정한 것으로 보아 향교가 설치될 때부터 설정되었을 것이다. 학궁촌의 주민들은 향교의

  • 학당서원 / 學堂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 학당마을에 있는 서원. 1654년(효종 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안처(安處)·정담(鄭湛)·안경지(安敬之)·안징(安徵)·안위(安衛)·안철(安徹)·나팔기(羅八紀)·나신도(羅伸道)·안국용(安國用)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백산면 학당리에

  • 학동서원 / 鶴洞書院 [교육/교육]

    평안남도 강서군(현재의 남포직할시 강서구역) 강서면 학천리에 있었던 서원. 1590년(선조 23) 현령 박경선(朴慶先)이 감사 윤두수(尹斗壽)에게 제청하여 김반(金泮)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1674년(현종 15) 현령 조후근(趙侯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