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하정초고 / 荷汀草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임교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3년에 편집한 시문집. 불분권 5책. 필사본. 이 책은 저자가 죽기 1년 전인 1863년 스스로 편집한 듯하다. 서와 발은 없다.『하정초고』 1책은 부(賦) 2편, 시 147수, 2책은 시 137수, 서(序) 2편, 기(

  • 하진 / 河溍 [종교·철학/유학]

    1597(선조 30)∼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문신. 결 7세손, 기곤의 증손, 할아버지는 한, 아버지는 공효, 어머니는 윤기의 딸이다. 1633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병조낭관, 헌납, 지평을 역임하였다. 저서로『태계문집』 4책이 있다.

  • 하진양문록 / 河陳兩門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전 25권 25책. 국문 필사본. 목판본은 없고, 활자본으로는 1925년 경성 동양대학당, 광복 이후 1954년 공동문화사 발행의 상·중·하권 3권 3책이 있다. 「하진양문록」은 당시의 국문소설로는 드물게 보는 25권의 장편으로, 1788

  • 하처난망주 / 何處難忘酒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유호인(兪好仁)이 지은 한시. 오언율시 5수로, 『뇌계집(㵢溪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뇌계집』에는 제목 아래에 ‘효백낙천(效白樂天)’이란 세주(細註)가 있는데, 『동문선』 권10에는 이 세주까지를 제목으로 삼아 「하처난망주효백낙천(何處難忘酒效白樂天)

  • 하첩 / 夏帖 [문학/한문학]

    조선 초기에 박상(朴祥)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 2수. 『눌재집(訥齋集)』 권4와 『국조시산(國朝詩刪)』 권2 등에 전한다. 『눌재집』에는 ‘제숙보령공사시도소병(題叔保令公四時圖小屛)’이라는 제목 아래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시는 사계절의 경치를 그린 조그만 병풍에 적어

  • 하키 / Hockey [예술·체육/체육]

    스틱을 가지고 공을 상대편의 골에 넣어 승부를 겨루는 운동경기. 하키는 각 16명 이하로 구성된 두 팀 사이에 각각 11명의 선수가 스틱의 평평한 한쪽 면으로 공을 몰아 시간 내에 상대편의 골에 공을 넣어서 승패를 결정하는 경기이다. 아이스하키, 롤러하키 등과 구별하기

  • 하트 / Robert Hart [정치·법제/외교]

    1835-1911. 영국인으로 청국 해관 총세무사. 1859년 양광총독 노숭광의 추천으로 월해관 부세무사로 임명되었다. 1861년 청국 해관 초대 총세무사 레이의 위탁으로 총세무사를 대리하였다. 1863년 레이가 오스본함대 사건으로 사직하자 정식으로 해관 총세무사로 임

  • 하풍죽로당집 / 下風竹露堂集 [언론·출판]

    저자 박지원(1737-1805),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111장이다. 표제는 '하풍죽로당집'으로 되어 있다. <연상각집> 계열본으로, <운산만첩당집>, <백척오동각집> 등이 이 책과 유사한 성격의 책들이다. 기(記) 16편, 서(書) 9편, 서(序) 6편, 인

  • 하해관 / 河海寬 [종교·철학/유학]

    1634(인조12)∼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학자. 한 증손, 할아버지는 공효, 아버지는 진이다. 13세에 허목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성년이 되어서는 하홍도 문하에 출입하면서 조식의 학문을 사숙하였다. 효행도 뛰어났으며,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을 중심으로

  • 하현궁 / 下玄宮 [정치·법제]

    국장에서 국왕 또는 왕비의 재궁을 현궁에 내리는 의식. 임금 또는 왕비의 관을 묻는 광중을 현궁이라 한다. 하현궁은 광중에 재궁을 안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국장에서 대여가능소에 도착하면 재궁을 영악전 또는 정자각에 먼저 모셔둔다. 천전의를 거행한 후 찬궁을 열고 재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