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하용기 / 河龍基 [역사/근대사]
1891-1964.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1919년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둔남면(屯南面) 오수리(獒樹里) 장날을 이용하여 이기송(李基松), 오병용(吳秉鎔) 등과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그는 이날 오후 2시 오수리 장터에서 천도교(天道敎)와 기독교도가 중심이
하우요 / 夏雨謠 [문학/고전시가]
1642년(인조 2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1642년(인조 20)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작자가 56세 때 은거지인 금쇄동에서 지은 「산중신곡 山中新曲」 18수 가운데 2수이다. 작자의 문집인 『고산유고 孤山遺稿』 권6 하편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하원시초 / 夏園詩鈔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시인 정지윤의 시 「작시유감」·「관동상매」·「전춘시」등을 수록하여 1854년에 간행한 시집. 1권. 고활자본. 1854년(철종 5) 후배시인 최성환(崔瑆煥)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하원시초』 권두에 정지윤의 자서가 실려 있고 권말에는 최성환의 「간하원시초제사(
하위지 / 河緯地 [종교·철학/유학]
1412(태종 12)∼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윤 증손, 할아버지는 지백, 아버지는 담, 어머니는 유면의 딸이다. 1438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집현전부수찬에 임명되었다. 집현전부제학, 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노량진의 민절서원, 영월의 창절사,
하은유고 / 荷隱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정상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활자본. 이 책은 1936년 아들 종진(宗溱)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하은유고』 권두에 이손(李巽)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백인기(白仁基)와 종진의 발문 및 박회식(朴會植)의 후기가
하의어 / 下意語 [언어/언어/문자]
어떤 다른 어휘보다 더 특수한 어휘. 상의어와 하의어는 상대적인 용어로서, 예를 들어 ‘동물’은 ‘말·소·양·돼지……’ 등에 대해서는 상의어이지만, ‘생물’에 대해서는 하의어가 된다. 이러한 관계는 논리학상에서 정의를 내릴 때 사용되는 종개념(種槪念)과 유개념(類槪念)
하의철 / 河誼喆 [교육/교육]
1907-미상. 일제강점기 교사·독립운동가. 전라남도 영암군(靈巖郡) 미암면(美岩面)에서 출생하였다. 광주사범학교 재학시절에 학생비밀결사(學生秘密結社)인 성진회에 가입하였고, 민족차별 교육을 일삼았던 일본인 교사를 타학교로 전근시키는 등의 활약을 하였다. 이후 성진회
하일즉사 / 夏日卽事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한시. 초여름의 정경을 노래한 작품이다. 칠언절구 2수로, 『동국이상국집』 권2에 수록되어 있다. 두 수 가운데 특히 둘째 수가 유명하여, 『동문선』 권20에는 ‘하일(夏日)’이라는 제목으로 둘째 수만 실려 있다. “홑적삼에 삿자리
하일즉사 / 夏日卽事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서거정(徐居正)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로 『사가집(四佳集)』 권31에 수록되어 있다.『사가집』에는 똑같은 제목의 시가 여러 편 있는데, 특히 이 작품이 서거정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일컬어지고 있다. 1·2구에서는 비가 갠 뒤 다시 해가 빛나는 여름의 무더
하정집 / 荷亭集 [문학/한문학]
개항기 문신 여규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신연활자본. 1923년 정인서(鄭寅書)가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서문이나 발문은 없다.『하정집』 권1·2는 만사(輓詞) 1수를 포함한 시 112수, 권3·4는 논(論) 2편, 설(說) 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