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하수집 / 荷叟集 [종교·철학/유학]
박기녕의 문집. 목활자본, 서:류도헌(1909), 6권3책. 권1~2에는 시 73 제 130수, 만사, 차운시의 비중도 높다. 권2에는 시 이외에 사ㆍ서가 실려 있다. 권3에는 서 3편ㆍ기 2편ㆍ발 1편ㆍ식 5편,ㆍ잡저 3편ㆍ상량문 3편이 수록되었다. 권4에는 제문ㆍ유
하숙 / 下宿 [생활/주생활]
일정한 방세와 식비를 지불하고 남의 집에 머물면서 숙식하거나 그러한 집. 하숙의 등장은 1920년대 초부터라고 볼 수 있다. 일반 숙박업소로서의 하숙은 그 기능이나 성격·구조가 여인숙과 크게 다를 바 없고, 다만 비용이 적게 든다는 차이밖에 없다. 교통이 편리한 곳에
하시구치 나오에몬 / 橋口直右衛門 [정치·법제/외교]
?-?. 한성 주재 일본부영사. 인천 영사. 1884년 프랑스공사관으로 부임하였다. 1887년 한성 주재 일본부영사로 도임하였다. 1893년 6-11월 주청 일본공사관 서기관으로 근무하였다. 1895년 10월 8일 인천 주재 일본영사로 조선에 도착하였다. 1895년 1
하신열무 / 下辛熱舞 [예술·체육/무용]
신라 신문왕 9년(689) 임금이 신촌(新村)에서 잔치를 베풀었을 때 추던 춤의 하나. 감(監) 4인, 금척(琴尺) 1인, 무척(舞尺) 2인, 가척(歌尺) 3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춤의 내용은 알 수 없다. 상신열무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믿어지지만 확실한 것은 알려지지
하씨선행후대록 / 河氏善行後代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33권 33책. 국문필사본.「벽허담관제언록(碧虛談關帝言錄)」의 속편이다. 이 작품은 전편과 마찬가지로 일부다처 생활에서 벌어지는 여성간의 쟁총(爭寵)과 갈등을 구성해 놓은 가문소설(家門小說)이다. 전편 「벽허담관제언록」은 오왕 하유의 장남
하야시 곤스케 / 林權助 [정치·법제/외교]
1860-1939. 일본 외교관. 주한 일본공사. 1887년 외무성에 들어가 교제관 시보에 임명. 1887년 10월부터 지부 부영사, 1888년 11월부터 인천 영사, 1892년 3월부터 상해 주재 영사를 거쳐 1896년 9월 영국공사관 1등서기관, 1898년 1월 청
하야시 다다스 / 林董 [정치·법제/외교]
1850-1913. 일본 외교관. 외무대신. 1873년 귀국해 외무성 2등서기관으로서 공부성 공학료의 공학조를 겸무하였고, 공부류소승, 공부성권대서기관, 공부성대서기관을 역임하였다. 1886년 역체국장, 1887년 내신국장을 역임하였다. 1891년 6월 외무차관에 취임
하양향교 / 河陽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교리에 있는 향교. 1580년(선조 1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8년에 대성전을, 1622년(광해군 14)에 명륜당을 각각 중건하였다. 그 뒤 1803년(
하여가 / 何如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말에 이방원(李芳遠)이 지은 시조. 1수. 이방원은 조선 건국에 공이 큰 태종으로, 이 작품은 반대당인 정몽주(鄭夢周)의 진심을 떠보고 회유하기 위하여 마련된 자리에서 지어 부른 작품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런들 엇더ᄒᆞ며 져런들 엇더ᄒᆞ료/만수산(萬壽山
하연 / 河演 [종교·철학/유학]
1376(우왕 2)∼1453(단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즙 증손, 할아버지는 윤원, 아버지는 자종, 어머니는 정우의 딸이다. 정몽주의 문인이다. 1396년(태조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조참판, 대사헌, 경상도관찰사, 좌찬성,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