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응보설화 / 應報說話 [문학/구비문학]
인물이 스스로의 행동동기에 따라 행운 또는 불운한 결과를 받게 된다는 내용의 설화. 모방담의 한 형태이다. 선량한 인물이 순수한 마음으로 행한 행위의 결과인 행복한 결말과 어리석거나 욕심 많은 인물이 욕심을 채우기 위해 행동한 행위의 결과인 불행한 결말 모두를 포괄한다
응제시 / 應製詩 [문학/한문학]
왕의 명에 의하여 지은 시. 왕이 신하에게 일정한 제목을 주어 시를 짓게 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 형식은 일정하지 않다. 아무 제목이나 내용을 지시하지 않고 작자에게 일임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시를 짓는 데에 있어서 다른 한시와 구별지을 수 있는 형태상의 특징이 없
응제시주 / 應製詩註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권람이 조부 권근의 응제시를 해석하여 1461년에 간행한 주석서. 1책. 목판본. 권근이 1396년(태조 5)에 소위 표전문사건(表箋文事件)을 해결하기 위하여 명나라에 갔는데, 명제(明帝)가 조선에서 명에 보낸 표전의 글귀 중에 불손한 말이 있다고 트집을
의견설화 / 義犬說話 [문학/구비문학]
개가 사람에게 도움을 주거나 은혜를 갚은 것을 주제로 한 설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가장 오랜 기록은 고려시대 최자(崔滋)가 지은 『보한집』에 나타난다. 전라도의 개 이야기가 중앙인 개성까지 전파되기까지의 과정을 생각하면, 최자가 살던 당시 이미 세상에서 찬미하
의고문 / 擬古文 [문학/한문학]
한문 문체의 하나. 당송고문에 반대하여 진한(秦漢) 이전의 문체로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에 의하여 지어진 글의 종류이다. 우리 나라에서 의고문이 성행한 시기는 조선시대 선조 때부터 영·정조까지 약 200년 안팎의 세월이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는 최립(崔笠)과 신유한(申維
의승기 / 義勝記 [문학/한문학]
1664년(현종 5) 임영(林泳)이 지은 한문소설. 심통성정(心統性情)을 의인화(擬人化)한 의인소설(擬人小說)로 천군소설(天君小說)의 일종이다. 작자의 문집인 『창계집 滄溪集』 권16에 실려 있다. 「의승기」는 임영이 이단상(李端相)의 문하에서 본격적으로 성리학을 배
의식요 / 儀式謠 [문학/구비문학]
의식(儀式)의 일부로 주술적 목적이나 기타 의식 진행상의 목적실현을 위하여 불리는 민요. 의식요는 노동요나 유희요에 비하여 빈약하다. 그러나 무가(巫歌)·불가(佛歌) 등도 넓은 의미에서는 의식요라고 할 수 있다. 민요에서의 의식요는 세시의식요(歲時儀式謠)와 장례의식요(
의암유고 / 宜庵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서경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5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2책. 목활자본. 1865년(고종 2) 5대손 영지(榮智)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그 뒤 1928년이왕직(李王職)의 소장본을 등사한 필사본도 남아 있다. 권두에는 1863년(철종 14) 김영
의열비충효록 / 義烈妃忠孝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에서 저자는 비의 효행과 설승상의 충(忠)을 강조하여 두 주제를 하나의 구조 안에 담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설중의 충심은 효과적으로 형상화되었다고 볼 수 없다. 간신인 적대자 최훈이 설정되어 이야기가 전
의유당 / 意幽堂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유당유고』 등을 저술한 문인. 남편 신대손의 누이가 혜경궁(惠慶宮) 홍씨(洪氏)의 친정숙부인홍인한(洪麟漢)에게 출가했으므로 혜경궁홍씨의 숙모에게는 친정올케가 되며, 형부인 김시묵(金時默)이 정조(正祖)의 비인 효의왕후(孝懿王后)의 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