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은애전 / 銀愛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한문 전(傳). 작자의 문집 『아정유고(雅亭遺稿)』에 실려 있다. 작품을 만든 동기는 1790년(정조 14) 정조가 모든 옥안(獄案)을 심리하다가 김은애와 신여척을 살리게 하고, 이덕무로 하여금 전을 짓게 하여 내각의 『일력(日曆)』

  • 은촌내방가사집 / 隱村內房歌辭集 [문학/고전시가]

    1971년 회갑문집간행위원회에서 조애영의 회갑기념으로 편찬한 가사집. 이 책은 저자의 회갑기념으로 백철(白鐵)·임동권(任東權)·장사훈(張師勛) 등 24명의 회갑문집간행위원회에서 편찬하였다. 내용은 6부로 분류, 1∼5부까지는 가사작품이고, 6부는 가사문학 일반에 대한

  • 은혜 모르는 인간 / 恩惠─人間 [문학/구비문학]

    생명을 구하여 준 사람에게 짐승은 보은하지만 인간은 배신한다는 내용의 설화. 문헌설화로는 발견되지 않고 구전설화로 전국에 걸쳐 널리 전승되고 있다. 각 편에 따라 보은하는 짐승이 호랑이·사슴·고양이 등으로 이야기되기도 하고 구출된 인물이 주인공의 양자로 있었거나 그의

  • 은혜 모르는 호랑이 / 恩惠─ [문학/구비문학]

    호랑이가 자기를 구해 준 은인을 잡아먹으려다가 다시 곤경에 빠지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함정에 빠진 호랑이를 구해주자 호랑이는 그 사람을 잡아먹으려 하였다. 그리하여 사람과 호랑이는 누구의 행위가 옳고 그른지 판단하려고 황소에게 물었다. 황소는 사람도 우리에게 일을

  • 을병연행록 / 乙丙燕行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홍대용이 쓴 사행일기. 국문필사본. 표제가 ‘담헌연록’으로 된 10권 10책이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연행록’이라 된 20권 20책이 장서각 도서에 있다. 숭실대학교본은 매권 말미에 필사날짜와 경위가 밝혀져 있다. 장서각본은 숭실대학교본을 저본으로

  • 을지문덕전 / 乙支文德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활자본. 이 작품은 역사적 사실을 고전소설의 형식을 빌려 서술한 것이다. 을지문덕 개인의 일대기라기보다 수나라와의 싸움에 관련된 사실의 기록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구려의 우수성을 역설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민족사에 대한

  • 을해조행록 / 乙亥漕行錄 [문학/고전산문]

    1875년(고종 12)에 조희백(趙熙百)이 지은 조운일기(漕運日記). 1책(23장). 한문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갑술(甲戌, 1874년) 12월 17일 지은이가 함열현감 겸 성당창조세영운관(咸悅縣監兼聖堂倉漕稅領運官)에 제수되어 이듬해 1월 27일 임지에

  • 음양옥지환 / 陰陽玉指環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옥가락지를 매개로 하여 하늘이 정한 인연, 하늘이 정해 준 배필을 찾아 헤매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영웅의 일생 구조를 지니고 있는 영웅소설이며 군담소설이고, 여걸소설 혹은 여장군소설에 속하기도 한다. 한편, 적강화소를 지니고

  • 음장설화 / 陰長說話 [문학/구비문학]

    거근(巨根)에 관련된 설화. 신라 지철로왕(智哲老王, 智證王)과 경덕왕(景德王)의 음경에 관한 설화가 대표적이다. 『삼국유사』 권1 기이편 제2 지철로왕조와 『삼국유사』 권2 기이편 제2 경덕왕충담사(忠談師) 표훈대덕(表訓大德)조에 수록되어 있다. 신라 제22대 지철로

  • 읍취헌유고 / 挹翠軒遺稿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학자 박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5년에 증간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초간본은 박은이 죽은 지 3년 뒤에 친구인 이행(李荇)이 박은과 교유하던 여러 친구들에게 흩어져 전해오던 것을 수집하여 1책으로 엮었다. 그 뒤에 아들인 공량(公亮)이 흩어져 있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