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윤하정삼문취록 / 尹河鄭三門聚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05권 105책. 한글궁체필사본. 이 작품은 「명주보월빙(明珠寶月聘)」의 속편에 해당한다. 「명주보월빙」의 영웅들인 윤광천·윤희천·정천흥·하원광 등의 자녀들이 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남자주인공군으로는 윤성린 외에도 윤부(尹府)의

  • 율격 / 律格 [문학/고전시가]

    장단, 고저, 발음 등 짜임새가 비슷한 말의 토막을 이어붙이는 문학창작의 한 방식. 한국 시가도 단순율격이면서 토막을 이루는 음절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가변적인 점이 남다르다. 음절수를 나타내는 자수를 헤아려 34조, 44조 등의 자수율이 있다고 하는 견해가 한동안

  • 율리유곡 / 栗里遺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김광욱(金光煜)이 지은 연시조. 모두 14수로, 『청구영언』·『해동가요』 등의 가집에 수록되어 있다. 강호가도(江湖歌道) 계열의 전원시가(田園詩歌)이다. “陶淵明(도연명) 죽은후에 ᄯᅩ연명이 나닷말가/밤ᄆᆞ을 녯일홈이 맛초와 ᄀᆞᆺ틀씨고/돌아와 守拙田園(

  • 율시 / 律詩 [문학/한문학]

    한시 형식의 하나. 1구의 자수에 따라 5언·7언의 구별이 있다. 1구 5자인 경우는 오언율시, 1구 7자인 경우는 칠언율시이다. 같은 근체시인 절구보다 형식이 까다롭다. 대우(對偶)·성운(聲韻)·자수(字數)·구수(句數)가 모두 엄정한 규율에 맞아야 한다. 율시는 양(

  • 율정집 / 栗亭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인 윤택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율정집(栗亭集)』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 권106 「윤택열전」과 『용재총화』 권8, 『대동운부군옥』의 「찬집서적목록(纂輯書籍目錄)」,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이색(李穡, 13

  • 윷노래 [문학/구비문학]

    윷을 놀 때 부르는 민요. 유희요(遊戱謠)에 속한다. 내용은 대체로 희망하는 수가 나타나기를 바라는 것과 말판의 말이 빨리 달아나기를 바라는 것이 대부분이다. 가사가 ‘도·개·걸·모’를 해학적으로 풀이하여 읊고 있어 어희요의 성격도 띠고 있다. 이 노래는 거의가 개인창

  • 은대집 / 銀臺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인 이인로의 고시·율시·고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인로 자신이 평생에 지은 저서를 모아 손수 편찬한 것이라고 하나, 지금은 일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이 책의 규모는『고려사』의 이인로 열전에 의하면 원집 20권, 후집 4권의 방대한 저술이었다고 한다. 그 내

  • 은도끼금도끼 / 銀─金─ [문학/구비문학]

    정직한 나무꾼은 금도끼를 얻고 욕심쟁이 나무꾼은 쇠도끼마저 잃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하는 설화 유형의 하나이다. ① 한 나무꾼이 산으로 가 나무를 찍다가 잘못하여 도끼를 연못 속에 빠뜨려 버렸다. 할 수 없이 울고 있자니 연못 속으로부터 백발노

  • 은사가 / 隱士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지은이와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작품내용으로 보아 경술국치(1910년) 이후라 할 수 있다. 4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89구이며, 3·4조와 4·4조로 되어 있다. 작자는 조선왕조와 그 문물을 숭상하던 선비로서 경술국치를 당하자 산으로 피난한

  • 은송당집 / 恩誦堂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역관·문인 이상적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4권 4책. 목판본. 중국 우박계관(藕舶溪館)에서 간행되었다. 속집에 구간기(舊刊記)와 자서가 있다. 『은송당집』의 체재는 다른 문집에 비하여 특이하다. 문(文)과 시의 권수가 별도로 있다. 그리고 일부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