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육영 / 六咏 [문학/고전시가]

    권섭(權燮)이 지은 시조. 작자가 지은 시조 75수 중 일부이며, 권섭의 친필유고인 필사본 『옥소고(玉所稿)』에 여타 작품들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제악숙(祭樂肅)·군악정(軍樂整)·선악정(禪樂定)·여악탕(女樂蕩)·용악처(傭樂悽)·무악요(巫樂搖) 등 여섯 편의 시

  • 육우당유고 / 六友堂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조위수의 부·서(書)·행장·시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필사본. 권1은 부(賦) 2편, 시 2수, 서(書) 22편, 문(文) 4편, 행장 2편, 부록의 권1에 유서(諭書)·제문·기(記)·가전(家傳) 등 20편, 권2는 장덕록(狀德錄) 3편, 영모

  • 육전소설 / 六錢小說 [문학/고전산문]

    신문관(新文館)에서 발행된 값이 싼 문고본 소설책들. 1913년부터 발행되었으며, 우리 나라 두 번째의 문고본이다. 판형은 B6판의 소형이고, 값이 싸서(6전) 부담 없이 휴대용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었다. <남훈태평가>, <홍길동전>, <심쳥젼>, <흥부젼>,

  • 육현가 / 六賢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전 6장. 작자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인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이다. 작자의 저서 『무릉잡고(武陵雜稿)』 별집과 『죽계지(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육현가」는 도학 형성에 크게

  • 육효자전 / 六孝子傳 [문학/고전산문]

    박건회(朴健會)가 편술한 고전소설집. 회동서관(滙東書館)에서 간행하였다. 초두에 ‘박건희 편술’이라 밝혔으며, 전래의 6편 효행담을 엮은 일종의 단편소설집이다. 장회(章回) 소설처럼 횟수로 하여 6편을 엮고 있다. 제1회는 김효증(金孝曾)의 효행담이다. 제2회는 이해룡

  • 윤대정본풀이 / 尹大靜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파평윤씨(坡平尹氏) 집안에 계승되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이 수호신은 대정현감(大靜縣監)을 지낸 혈연조상이므로 윤대정(尹大靜)이라 일컫는 것이며, 벼슬을 한 조상의 내력담이므로 조상본풀이 중 ‘홍부일월[紅牌日月]’

  • 윤동주 / 尹東柱 [문학/현대문학]

    1917-1945년. 시인. 본관은 파평(坡平). 아명은 해환(海煥). 북간도 명동촌(明東村) 출생. 아버지는 영석(永錫)이며, 어머니는 김룡(金龍)으로 기독교 장로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 아우 일주(一柱)와 당숙 영춘(永春)도 시인이다. 14세(193

  • 윤여형 / 尹汝衡 [문학/한문학]

    고려후기「상률가」를 저술한 문인. 이제현(李齊賢)이 그에게 「9월15일효기유감기시윤여형학유(九月 十五日 曉起有感 寄示尹汝衡學諭 : 9월 15일 새벽에 일어나 느낀 바 있어 학유 윤여형에게 부쳐 보이다)」라는 시를 준 것으로 보아, 이제현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던

  • 윤지경전 / 尹知敬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한문 필사본. 이 작품은 선조조의 인물 윤지경이 아니라 중종조의 윤인경(尹仁鏡)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보인다. 주인공의 행적이 윤인경의 행적과 일치하는 점이 많을 뿐 아니라 한문필사본 「윤인경전」의 존재가 이를 뒷받침한다.

  • 윤지당유고 / 允摯堂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류문인 임윤지당의 논·설·잠·명 등을 수록하여 1796년에 간행한 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동생 정주(靖周)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시동생 신광우(申光祐)와 정주의 발문이 있다. 상편에 전(傳) 2편, 논(論) 11편, 발(跋) 2편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