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유하집 / 柳下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문인 이치우의 시·서(書)·잡저·유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치우의 손자 이기소(李起韶)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채(李綵)의 서문이 있고, 민상호의 후지(後識)와 이기소의 발문이 있다. 4권 2책. 석인본. 권1·2는 시 229수

  • 유한당사씨언행록 / 幽閑堂謝氏言行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산문. 1책. 국문 필사본. 유한당 사씨의 생애를 통하여 여자의 바른 행실을 그린 일종의 여성윤리서의 성격을 가진다. 이 작품은 유한당이라는 이상적 여인상을 통하여 규중행실의 모범을 보이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작품이 시종 대화체

  • 유한당언행실록 / 柳閑堂言行實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유한당 권씨(柳閑堂權氏)가 기록한 언행록. 1책. 필사본. 김양선(金良善) 소장본으로, 1983년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지면은 ‘중앙은행’이라 쓴 괘지를 사용하였고, 해서체로 되어 있다. 유한당 권씨는 이벽(李霹)의 부인이며, 천주교

  • 유한라산기 / 遊漢拏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최익현(崔益鉉)이 지은 한라산 기행문. 작자가 1875년(고종 12년) 3월에 한라산을 등정하고 한문으로 쓴 단형의 유산기(遊山記)이다. 작자의 문집인 『면암집 勉菴集』에 수록되어 있다. 최익현은 「유한라산기」에서 백록담 주변을 “주위가 1리를 넘고 수면이

  • 유한집 / 幽閒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류시인 홍원주의 시「구호16영」·「몽귀」등을 수록한 시집. 1권 1책(37장). 목활자본. 표지에는 ‘幽閒集(유한집)’이라 쓰고 책표지 안의 서문 머리에는 ‘공인홍씨시집’이라고 되어 있다. 서문은 사위 이대우가 1854년(철종 5)에 썼고, 발문은 없다. 5

  • 유항시집 / 柳巷詩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신 한수의 시 「팔월초구일야좌」·「봉화한산군소시」등을 수록하여 1400년에 간행한 시집. 1책. 이 책의 초간본은 저자의 둘째아들 상질(尙質)이 유고를 수집·편차하여 1398년권근(權近)의 비점(批點)을 받아 정고본(定稿本)을 만들고, 이를 문생인 성석용(成

  • 유화기몽 / 柳花奇夢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활자본. 목판본·필사본은 발견되지 않고 1918년에 보급서관(普及書館)에서 발행한 활자본만 전한다. 영웅소설의 일종으로, 주인공의 출생과정이 특이한 10회 장회소설(章回小說)이다. 이 작품은 1회부터 5회까지는 주인공의 비정상적인 탄생과

  • 유효공선행록 / 柳孝公善行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2권 12책. 국문 필사본. ‘유공선행록(柳公善行錄)’·‘유효공전(柳孝公傳)’·‘유효공현행록’ 등 30여 종의 이본이 있다. 작품 내용은 이본 간에 큰 차이가 없으나, 현재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12권의 「유효공선행록」을 선본

  • 유희경 / 劉希慶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촌은집』을 저술한 시인. 아버지는 종7품인 계공랑(啓功郎)유업동(劉業仝)이고 어머니는 허씨(許氏)이다. 박순(朴淳)으로부터 당시(唐詩)를 배웠으며 어려서부터 효자로 이름이 났다.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으로 나가 싸운 공으로 선조(宣祖)로부터 포상과 교지를 받았

  • 유희요 / 遊戱謠 [문학/구비문학]

    여러 가지 유희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노동요나 의식요와 함께 기능요에 속한다. 노동요는 작업 능률을 올리며 일의 고됨을 덜기 위해 부르는 노래이다. 반면, 유희요는 놀이를 질서 있게 진행시키며 놀이 자체를 흥겹게 하기 위해, 또는 승부에 이기기 위해 부르는 것이다.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