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총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가정목은선생문집판 / 稼亭牧隱先生文集板 [언론·출판/출판]
고려 후기의 학자 가정 이곡(李穀)과 그의 아들 목은 이색(李穡)의 시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 이곡의 시문집인 『가정집』은 1364년(공민왕 13)에 이색이 편집하고 사위 박상충(朴尙衷)이 금산(錦山)에서 펴냈으나 조선 초에 소실되고, 1422년(세종 4)에
가정집 / 稼亭集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학자 이곡(李穀)의 시문집. 초간본은 아들 색(穡)이 편집하고, 사위 박상충(朴尙衷)이 금산에서 1364년(공민왕 14)에 간행하였는데,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는 사이에 병화로 소실되자, 1422년(세종 4)에 그의 후손인 종선(種善)이 강원도관찰사
각대 / 角帶 [생활/의생활]
백관이 관복(官服)에 두르던 띠. 착용자의 신분과 계급에 따라 차별을 두었다. 관원이 공복 등에 띠를 두르던 것은 신라시대에 이미 제도화되었고, 고려에서는 계급에 따라 구분하여 제도화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더욱 발달되어 계급에 따라 장식이 다양해졌다. 조선 말기 각대를
각루원 / 刻漏院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물시계의 관측을 맡아보던 관청. 931년(태조 5) 서경에 낭관과 아관을 두고 병부(兵部)·납화부(納貨府)·진각성(珍閣省)·내천부(內泉府) 등과 함께 설치되었다.
각촉부시 / 刻燭賦詩 [교육/교육]
고려·조선시대에 행해진 시짓기의 속작시합(速作試合). 촛불을 켜놓고 초가 타내려 가는 일정 부분에 금을 새겨 놓아 그 시간 안에 시를 짓게 하는 일종의 경시대회이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실시한 과거종목인 명경과(明經科)와 제술과(製述科) 중, 제술과에서 부과한 시·부
각필구결 / 角筆口訣 [언어/언어/문자]
각필(角筆)을 사용해 종이에 서사된 구결(口訣). 현전하는 각필구결 중 학술적으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고려 전기의 것은 주로 한역(漢譯) 불전(佛典)류에 집중되고 있다. 각필구결은 일본의 오코토 훈점(訓點)과 마찬가지로, 한문을 훈독할 때 들어가는 조사를 부호화 한
각화사귀부 / 覺華寺龜趺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각화사에 있는 고려전기 거북 모양 비석 받침돌.귀부. 시도유형문화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9호. 장방형의 지대석(地臺石)과 귀부가 하나의 석재로 조성되었다. 지대석의 전면 양 모서리는 모를 죽여 사선형을 이루고 있다. 귀부는 앞과 뒤에 각각
간의대부 / 諫議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4품 관직. 목종 때에 좌우간의대부가 있었으나, 문종 때 관제가 정비됨에 따라 인원은 좌우 각각 1인씩을 두었다. 1116년(예종 11)에 조서를 내려 좌우사의대부로 명칭을 바꾸었다.
간정성유식론단과 / 刊定成唯識論單科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의천이 『성유식론』의 과문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원래 3권이었으나 현재는 서문만 전한다. 해인사에서 간행된 목판본 서문에 따르면,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과 『성유식론(成唯識論)』의 두 논서는 각각 성종(性宗)과 상종(相宗)의 대표적 논서이지만 뜻
간화결의론 / 看話決疑論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 승려 지눌이 간화선의 우수성을 주장하기 위하여 저술한 불교서. 1책. 네 가지 질문에 대한 대답 형식으로 논리를 전개하고 있는 이 책의 주된 내용은, 화엄종에서 주장하는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이 이해와 사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깨달음의 길로 들어가는 간화